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휘장
커튼
장막
발
텐트
싸는 것
보자기
뉴스
"
막
"(으)로 총 1,289건 검색되었습니다.
3할 타자의 뇌는 '특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7
하지 못하도록 한 다음 똑같은 영상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중앙의
막
대가 깜빡이는
막
대보다 앞서 보이는 현상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예측하는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로, 중측두피질이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예측하고 판단하는 능력과 관련 ... ...
생리통 너무 길면 자궁내
막
증 검사를
동아일보
l
2013.06.03
환자의 30∼50%는 불임증을 동반한다. 김병기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자궁내
막
증을 진단받은 여성의 30%가량이 자연유산을 경험한다”며 “환자가 아이를 가져야 한다면 불임 전문의의 진찰을 받으며 치료를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취재에는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의 최윤아 ... ...
호두박힌 과자, 알고보니 에이즈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3
누구나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저렴한 백신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이 밖에도 지문, 망
막
등 인도 국민 개개인의 생체인식 정보를 등록하는 ‘아다르(Aadhaar) 프로젝트’도 소개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빈곤층에 대한 사회복지수당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개인의 생체정보가 ... ...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인류구원' 프로젝트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5.21
산업도시라 크고 작은 공장이 많고 핵발전소도 있다”면서 “대기권에 진입한 운석이 사
막
이나 바다에 떨어지면 다행이지만 발전시설이나 인구밀집지역에 떨어진다면 인류 멸망까지는 아니지만 지역에 상당히 큰 피해를 입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뇌종양 커지면 신경장애 유발… ‘수술로 제거후 방사선’ 일반적
동아일보
l
2013.05.20
따르면 유전적인 요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종양이 발생되지 않도록
막
는 ‘종양억제유전자’가 제대로 활동을 못하거나 없어졌을 때 종양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는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포종양유전자’가 정상적인 세포를 악성 세포로 변환시켜서 종양을 만들어낼 ... ...
[시론]과학기술 시대의 공영방송
동아사이언스
l
2013.05.19
해결해야 한다. 우리 사회의 발전에 필요하다면 과감하게 투자를 하는 것이 공영방송의
막
중한 사회적 책임이고 의무다. 선진국의 공영방송이 모두 그렇게 하고 있다는 명백한 진실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KBS가 다큐멘터리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정규 과학 프로그램을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급격히 방울이 터지면서 거품이 꺼진다. 첫 방울이 터지고 비눗방울 3개가 남아있는 마지
막
사진까지 불과 0.2초가 걸렸다. 이 과정을 동영상으로 보면 훨씬 더 진짜 같은데 접근이 안 돼 보여주지 못하는 게 아쉽다. 액체의 표면에 머무르다 하나둘 터지며 사라지는 거품. 그러나 몇몇 과학자들은 ... ...
그녀가 발견한 거대한 흑마 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5.09
인상적이다. 마치 메두사가 흘린 피로 벌겋게 물든 바닷물에서 페가수스가 이제
막
탄생해 머리를 내민 것처럼 보인다. 그것도 메두사가 아름다운 처녀였을 때 가졌던 긴 목처럼 목을 길게 드러내면서 말이다. 그런데 말머리성운의 주인공은 왜 검은색일까. 성운은 우주의 먼지와 가스가 모인 ... ...
갤럭시S4 혁신 뒤엔… 디자이니어들의 ‘0.1mm 전쟁’
동아일보
l
2013.04.30
색만 다루진 않는다. 이들은 ‘10대가 아닌 성숙한 20대를 위한 핑크’ ‘할머니 옷장에서
막
나온 듯한 브라운’ ‘20년 미래의 블랙’ 등 정형화되지 않는 아이디어를 마구 쏟아낸다. 강 팀장은 “색상에서도 전통적인 틀을 깨야 사람들의 심장을 뛰게 할 수 있다”며 “꿈꾸는 사람들인 ... ...
호박 덩굴손은 타고난 수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결국은 봉합선이 터져 씨앗을 퍼뜨린다는 사실이 2011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꼬투리
막
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섬유소가 배치된 두 층으로 이뤄져 있다. 그렇게 겹쳐진 섬유소는 마치 바둑판 줄무늬 같다. 흥미로운 사실은 꼬투리가 나가는 방향은 이렇게 배치된 두 섬유소에 대각선 방향으로 돼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