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소프트웨어 10개를 1년 만에 모두 개발하며 눈부신 활약을 펼친 것이었다. 이 교수를 만난
NASA
책임자는 “개발비에 신경 쓰지 않아도 좋다”고 180도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다행히 그 뒤로는 안심하고 연구에 전념할 수 있었죠.”그는 올 가을에 박사학위를 받을 예정인 이창희 연구원과 함께 거대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두 번이나 발생한 적은 이번이 처음이다. 과학자들은 그 원인을 지구온난화에서 찾는다.
NASA
가 원격감지위성과 부이를 통해 바닷물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올해 멕시코만과 대서양은 가장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즉 뜨거워진 바다 때문에 미국은 사상 최대의 허리케인 피해를 겪게 된 것이다. 지난 10 ... ...
별들의 고향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빛은 대부분 주위에 있는 두껍고 먼지가 많은 구름에 흡수된다. 그러나 미국 항공우주국(
NASA
)이 개발한 적외선우주망원경 ‘스피처’는 구름과 먼지를 뚫고 나오는 적외선을 볼 수 있어 아기별들의 생생한 현장을 엿볼 수 있다.어린 별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있다. 하나는 붉은 색으로 보이는 ... ...
소행성 끄는 중력 트랙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향해 돌진하는 소행성을 중력 트랙터로 끌어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
NASA
) 존슨우주센터의 에드워드 루와 스탠리 러브 박사는 소행성을 ‘중력 줄’로 잡아당기는 중력 트랙터를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11월 10일자에 실렸다.중력 트랙터는 소행성에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최첨단 금융상품으로 발전한 배경에는 로켓과학자의 공로가 컸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구조조정기에 많은 과학자들이 길거리로 내몰릴 위기에서 월가로 대거 진출했다. 당시 가장 복잡한 문제는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었다(지금도 그렇다).1973년 피셔 블랙과 마이런 숄즈는 몇 가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진행한 우주왕복선 유인 실험모듈 설치 및 우주실험 프로젝트 NASDA에서는 35개의 실험을,
NASA
에서는 7개의 실험을 지원하여 모두 44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18, 19세기는 오토마톤(Automaton)의 전성기였다 당시에는 '내부에 동력원과 동작장치를 지닌 장치'를 총칭하는 말이었으나 현재의 오토마톤은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름 0.85m 적외선 우주망원경인 스피처팀에 합류해 별 탄생의 신비를 벗기고 있다.
NASA
가 지난 2003년 8월 쏘아 올린 스피처는 지구 주위를 돌면서 우주 저편에서 쏟아지는 적외선 파장을 수집하고 있다. 노 박사 연구팀은 지난해 지구에서 약 5400광년 떨어진 궁수자리의 삼렬성운(트리피드, Trifid)에서 ... ...
수천개 은하들 무리에 뛰어들어 초속 600km로 날아가는 우주 화살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따르면 사랑의 신 에로스가 쏘아올린 화살이라고 한다.올해 3월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이 공개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에서도 화살의 일부인 화살촉을 닮은 천체가 보인다. NGC1427A라 불리는 이 천체는 지구에서 화학로자리 방향으로 6200만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화학로자리는 가을 남쪽하늘에서 일부만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참여하고 있다. 연구진이 300명에 달하는 미국 하버드대 천체물리센터의 김동우 박사는
NASA
의 찬드라 X선 망원경으로 은하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137억년 전 우주는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탄생했다. 이후 수 억년 만에 은하들이 태어났다고 한다. 은하 안에 있던 수천억 개의 별들도 진화를 ... ...
2. 은하의 먹이사슬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하버드대 천체물리센터로 돌아와 지금껏 X선과, 찬드라와 씨름하고 있다. 그간 수차례
NASA
로 부터 우수성과상을 수상했다. 지난 여름 한국에 다니러 왔다가 한국의 무덥고 습한 날씨에 고생을 했다고. 하버드대가 있는 보스턴은 여름에도 그렇게 습하지 않단다. 한국의 무더위는 잊었지만 한국의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