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수명이 다할 때까지 추적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2명에게 실제 수혈하는 양의 100분의 1 정도인 5~10ml를 먼저 수혈했으며 아직 별다른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적혈구를 대량 생산해 수혈할 수 있다면 겸상 적혈구 빈혈증과 같은 혈액 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 ...
- [그래픽뉴스] 유럽의 뜨거운 겨울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유럽의 새해가 이상 고온으로 시작됐다. 새해 첫날 네덜란드, 리히텐슈타인, 체코, 덴마크 등 유럽 8개국의 기온이 역대 1월 평균 기온을 훌쩍 웃돌았다. 유럽은 지난해 여름에도 사상 최악의 폭염을 겪었다 ...
- [특집] 인간보다 인간 같은 인공지능의 시대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인간보다 인간 같은 인공지능의 시대 올까Part1. GPT-4의 4가지 가능성[Bridge] 챗GPT와의 인터뷰 Part2.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 Part3.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 [Infographic] 인간과 인공지능의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이 과정에서 인간에게 피해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김도경 단국대 법학연구소 교수는 2021년 발표한 그의 논문 ‘인공지능 시대에 저작권 보호와 공정한 이용의 재고찰’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운용원리에 따라 오늘날 경제적 우위는 저작권 소유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대규모 ...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그린란드의 모습과 닮았으리라는 추측 때문이다. 키에르 교수와 함께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미켈 페데르센 덴마크 룬드벡 재단 지질유전학 센터 교수는 “카프 쾨벤하운 층의 생태계는 현재 지구상의 어떤 생태계와도 다르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가 예상하는 미래의 그린란드 기후와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받았을 가능성은 있다. 종교재판소에서는 피고가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고 의심되면 1단계로 고문을 당할 수 있다고 말로 경고하고, 2단계에서는 고문실로 데려가 고문 도구를 보여주며 위협했다. ‘엄격한 조사’라는 표현을 봤을 때 갈릴레이에게는 2단계 정도의 위협까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 ...
- [인포그래픽] 순에너지 생산에 성공한 국립점화시설(NIF)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류 최초의 핵융합 에너지를 생산한 미국 국립점화시설(NIF)은 150m x 90m(1만 3500m2)에 10층 높이로 미식 축구 경기장 3배 규모다. 내부에는 총 192개의 레이저 빔이 가득차 있다. NIF의 내부 구조와 관성 가둠핵융합실험방식을한 눈에 살펴볼 수 있게 정리했다.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안녕하세요. 과학동아 독자분들 반갑습니다. 저는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DMTS(Distinguished Member of the Technical Staff) 연구원이자 미 물리학회 회원 ...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실수와 질문은 여러분을 더 크게 만들어 줄겁니다. 2023년 1월 15일,-미국 캘리포니아주 리버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초빙교수로도 일했다.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책을 저술했다. szhan@kims.re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너비, 길이, 두께, 직경과 같은 치수 중 적어도 하나가 1~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물질을 나노물질이라고 하죠. 이제 조직공학자들은 전기방사(Electrospinning) 기술을 이용해 직경이 수십~수백 nm에 불과한 나노섬유를 제조합니다. 이것으로 세포 지지체를 만들어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