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쪽"(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과학동아 l2004년 09호
- 지속적으로 물위로 올라와 호흡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도 돌고래처럼 번갈아 가면서 한쪽 뇌만 잠을 잘 수 있도록 뇌를 훈련시킨다면 24시간 동안 공부하거나 일할 수 있는 ‘24시간형 인간’이 될 수 있지 않을까.미인은 잠꾸러기이번 여름 열대야 현상으로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낸 이들은 잠의 ... ...
- 태양계 타임캡슐 토성에서 무엇을 발견했나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밝은 2개의 반구로 이뤄져 있는 기이한 위성이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아이아페투스의 한쪽이 어두운 까닭에 대해 2가지 가설을 내놓았다. 하나는 토성의 어두운 달인 피비로부터 물질이 방출돼 표류하다 아이아페투스에 가서 달라붙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아페투스의 내부에서 탄소와 ... ...
- 03. 물고기 호텔, 바다목장이 양식 확 바꾼다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다쳤는갑다.”경남 통영에서 횟집을 경영하고 있는 김씨는 회를 뜨려다가 아가미 뚜껑 한쪽 귀퉁이가 반달 모양으로 약간 잘린 우럭 한마리를 발견한다.“당신 온동네에 붙어있는 포스터도 못 봤는교? 퍼뜩 바다목장연구센터로 전화 넣으이소.”김씨는 어리둥절해서 아내가 알려준 번호로 전화를 ...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과학동아 l2004년 08호
-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 출토된 외날찍개 · 쌍날찍개 같은 석영암(石英岩) 석기는 한쪽 또는 양쪽이 날카롭게 만들어진 나이프형의 것이며 만든 솜씨도 상당히 진전된 것이고 구석기시대 중에서도 전기(前期)의 것으로 추정 · 평가되고 있다 나일론 섬유를 종래의 초지법(抄紙法)과 거의 같은 ...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과학동아 l2004년 08호
- 연필을 붙일 때는 쉽지만 한쪽 눈을 감게 되면 자주 어긋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한쪽 눈만으로는 연필까지의 거리감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이에 착안해 눈에 보이는 실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두 눈에 입력할 수만 있다면 입체감은 쉽게 표현된다. 이를 위해 특성이 동일한 2대의 ...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과학동아 l2004년 08호
- 캠퍼스는 원래 ‘칭화유안’ (淸華園)이라는 청나라 황실의 정원이었다고 한다. 호수 한쪽에서 낚시를 드리우고 있는 노인도 보인다. ‘여기 대학 맞어?’ 이런 의문을 품은 채 기자는 캠퍼스 중앙으로 향했다.한참을 걷자 전형적인 대학 캠퍼스 풍경이 나타난다. 건물은 주로 1950, 60년대 당시 ...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이 분비되어 생체는 격렬한 활동상태를 나타낸다 적외선 흡수와 라만 효과 중 한쪽에서 관측되는 진동이 다른 쪽에서는 관측 불능인 것을 교대금지법칙이라고 하며 분자가 대칭중심을 가지는지, 가지지 않는지를 알기 위한 유력한 실마리가 된다 짝을 이루는 불포화탄화수소 중 분자 내의 ... ...
- 시뮬레이션으로 나노 세계 비밀 푼다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수소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수소가 탄소나노튜브 안으로 들어가는데 용이하도록 한쪽 끝이 열려 있어야 한다.“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수소 연료전지 개발은 전산모사를 이용한 하나의 예에 불과합니다. 우주선 추진체로 사용할 수 있는 고에너지 물질과 나노 트랜지스터 개발 등 나노 수준에서 ... ...
- 문어도 자주 쓰는 '팔' 있다과학동아 l2004년 07호
- 보이는 것이 눈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했다. 문어는 두눈을 모두 사용하기보다는 주로 한쪽 눈만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 때문에 문어가 주로 사용하는 눈 앞쪽의 다리가 자주 사용하는 ‘팔’ 역할을 한다 ...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과학동아 l2004년 07호
-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을 뜻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공생의 다른 한쪽을 이루는 개체가 미생물인 경우가 많다는 것.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은 생물의 생명활동과 진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생물의 가치를 조명하고, 미생물을 중심으로 공생의 개념과 역사를 밝힌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