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과학동아 l2008년 08호
- 목성이 밝은 빛을 내 뿜으며 밤하늘을 장악할 전망이다. ‘내 손안의 허블망원경’ 웹카메라로 목성과 ‘화상채팅’을 시도해보자.이달의 천문현상8월 1일 부분일식8월이 시작되는 첫날 늦은 오후,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 일어난다. 이번 개기일식은 북아메리카 북동부에서 시작해 ... ...
- 어질어질 우주멀미도 실험열정 막지 못해!과학동아 l2008년 08호
- 매일 내가 초파리 비디오를 찍을 때마다 “오늘 초파리들 컨디션 어때? 이젠 초파리가 카메라 앞에서 포즈도 취하겠는걸?” 하면서 안부를 묻기도 하고, 또 나처럼 초파리와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우주에서 초파리의 행동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중력에 둔감한 초파리 그룹은 ISS에서 머무는 동안 ... ...
- '과거의 시간' 관측하는 별밤지기과학동아 l2008년 08호
- 정작 인화했을 때 쓸 만한 사진을 못 건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필름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가 따라잡을 수 없는 감도나 색감의 매력이 있다.동아리 회원들은 별에 대한 것이라면 무엇이든 망설이지 않고 배운다. 매주 세미나를 열어 망원경 조작법과 사진촬영법을 익히는 일은 기본. 최근에는 ...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과학동아 l2008년 07호
- 회전 모터로 0.5m 깊이까지 땅을 팔 수 있다. 로봇 팔의 ‘손’에 해당하는 부분 위에는 카메라가 붙어 있어 토양의 실제 모습을 찍을 수도 있다.로봇 팔로 퍼 올린 흙을 ‘열처리가스 분석기’(TEGA)로 보내면 8개의 분석기에서 토양을 980℃로 가열하면서 수증기로 증발하는 물이 있는지, 생명체를 ... ...
- 뜯어봅시다 닌텐도 Wii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인체나 주변의 다른 사물들도 적외선을 방출하거나 반사하지만 그 양이 적기 때문에 카메라는 LED의 위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3. 움직임 인식리모컨 안의 가속도계 ADXL330에는 작은‘진자’가 있다. 이 진자는 고정된 두 전극 사이를 움직인다. ADXL330은 진자에 달린 전극과 고정된 두 전극 사이의 ...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카메라를 고정하고 원하는 배경의 화면을 잡는다. 그리고 적도의 마운트 전원을 끊은 채 카메라의 셔터를 열고 약 30초에서 1분 정도 고정 촬영을 한다. 그런 다음 약 1분~1분 30초 동안 적도의의 전원을 켜 별빛을 추적하도록 한다.올 여름 손에 닿을 듯한 지구의 풍경과 아득히 멀리 떨어진 우리은하의 ... ...
- “날아라, 박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7호
- bat, 박쥐)’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어요.박쥐로봇엔 입체 영상을 찍는 카메라, 여러 방향에서 들리는 소리를 잡는 마이크, 방사선이나 유독가스를 감지하는 탐지기 등이 달릴 예정이에요. 이렇게 눈, 귀, 코를 단 박쥐로봇은 정찰기역할을 하게 되며, 적진을 촬영한 영상, 음향, 냄새 등의 자료를 ... ...
- 청소년 가려내는 담배 자동판매기과학동아 l2008년 06호
- 사에서 개발한 제품이다.이 자동판매기를 이용해 담배를 사려는 사람은 내장된 디지털카메라에 얼굴을 대고 사진을 찍어야 한다. 자동판매기는 촬영한 얼굴 사진에서 주름의 개수, 뼈 구조, 피부의 처짐 등을 읽어 낸 뒤, 10만 명 이상의 얼굴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해 나이를 판단한다. ... ...
- 생물 다양성의 감소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또 일정하지도 않은 화합물의 한 무리가 있다 1879~ 1935 독일의 광학기계 기술자 슈미트 카메라 혹은 슈미트 망원경이라 불리는 시야가 넓은 광학계(光學系)를 발명했다 그는 통신기사·사진기사·설계기사 등으로 일하면서 천문학과 광학을 독학하고 경혐을 쌓았다1916~ 스웨덴의 생화학자 스톡홀름 ...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과학동아 l2008년 06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비행사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지구 곳곳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그들이 뽑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장을 소개한다. ‘지구만 한 예술은 없다’던 프랑스의 항공사진 작가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의 말을 곱씹으며. 해가 저문 직후 극지방에 나타난 오로라를 포착했다.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