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색
조사
추적
탐색
찾아주기
d라이브러리
"
찾기
"(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심술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어졌다.해수면 온도가 단 0.5℃ 낮아진다고 이렇게 기후변화가 커질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바닷물이 담을 수 있는 열의 양, 즉 ‘열용량’을 살펴봐야 한다. 열용량은 질량과 비열에 비례한다. 바다는 대기에 비해 비열이 4배 가량, 질량은 약 250배 크다. 열용량은 1000배 큰 셈이다. 때문에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묘사했다. 생명이 사라진 죽음의 봄이다.다행히(?) 지구상에는 그렇게 조용한 곳을
찾기
힘들다. 우리의 일상은 소음으로 가득 차 있다. 단 한 곳, 소리를 모두 흡수하는 특수한 실험실 ‘무향실’을 제외하고 말이다.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어폴리스에 위치한 음향연구소인 ‘오필드연구소’의 ... ...
마법 요리의 세계로 오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색부문)을 거머쥐었다. 처음에는 실패의 연속이었다.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전문 요리사를 찾아가 배우기도 했다.여러 번의 실패 끝에 탄생한 달걀 만드는 분자요리 방법은 이렇다. 노른자를 만들기 위해 노란색 주스에 알긴산 나트륨을 녹인 후 일정량을 컵에 넣고 염화칼슘을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관련된 재미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또, 아르키메데스 다면체의 개수인 동시에 숨은그림
찾기
처럼 1달러 지폐 곳곳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이제부터 13을 불운한 숫자로만 보지 말고 신기하고 재미있는 숫자로 생각해 보면 어떨까? 어쩌면 13도 어서 빨리 편견에서 벗어나 친근한 숫자로 여겨지길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LHC는 에너지가 너무 강해 불필요한 무거운 입자들이 만들어져 오히려 암흑광자만
찾기
가 힘들다”고 설명했다. [암흑광자는 어디에 있을까 - 제퍼슨연구소는 이번 실험에서 20~1000MeV/c2의 질량 범위에서 암흑광자를 검출할 계획이다(붉은색 부분). 전자의 질량은 0.5MeV/c2, 양성자의 질량은 938MeV/c2다.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같은 방법으로 Y염색체의 계보를 역추적하면 아담을 찾을 수 있다. 다만 아담은 이브보다
찾기
어려워 결과가 늦게 나왔다. 미토콘드리아와 Y염색체의 차이 때문이다. 미토콘드리아나 Y염색체가 한쪽 성으로만 그대로 이어진다고 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돌연변이가 생긴다.과학자들은 ... ...
책상 위 탄산음료, 당신을 바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주목했다. 두 그룹의 쥐에게 5일 동안 보통 사료를 먹이면서 하루에 2번씩 미로
찾기
훈련을 시켰다. 이후 6주 동안 한 그룹에는 액상과당 용액을 먹이고 나머지 그룹에는 액상과당과 함께 오메가3 지방산을 먹였다.그 결과 오메가3 지방산을 먹은 그룹이 훨씬 빨리 미로를 빠져나왔다. 연구팀의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얼마나 더 커질 것인가. 1km에 이르는 선박이 등장할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현재 세계적인 항만에서 컨테이너를 선박에 한 번에 실을 수 있는 컨테이너 길이는 최대 약 60m이다. 20피트 컨테이너 10개를 한번에 실을 수 있는 길이다. 컨테이너 ... ...
20mm 문턱도 넘나드는 로봇청소기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먼지를 말끔히 제거한다”고 말했다.로봇청소기의 두 번째 핵심 기술은 ‘길
찾기
’ 능력이다. 청소를 한 곳과 하지 않은 곳을 구별할 수 있어야 청소를 깨끗이 할 수 있고 이동 장소를 기억해야 충전이 필요할 때 원래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청소기에는 크게 두 가지 센서가 ... ...
사영기하학, 파스칼의 육각형 탐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내용이다. 파스칼의 ‘신비의 육각형’ 정리를 다른 도형에 적용해 불변성과 규칙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 모습이 보기 좋다. 다만 좀더 다양한 다각형을 정밀하게 조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평면도형뿐만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해서도 사영 변환을 실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실제 그림을 그려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