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두 사람이 깨어나기 때문입니다. 깨어난 사람이 진짜 왕자인지 가짜 왕자인지가 유일한 차이점인데, 이 사실은 깨어난 왕자의 답을 바꾸지 못 합니다. 3단계 ➊ 두 실험을 합친 마구잡이 실험2단계에서 실험 A의 ‘진짜 왕자가 잠에서 깨어나 구한 확률’이나 실험 B의 ‘가짜 왕자가 잠에서 깨어나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 결과 유전자의 96%는 동일했지만, 막걸리의 향을 결정하는 대사과정 관련 유전자에 차이가 컸다.심지어 같은 종의 효모라도 지역에 따라 배체수가 다른 경우도 있다. 배체수는 생물의 염색체 수로, 흔히들 ‘2n’이나 ‘n’ 등으로 표현한다. 세레비지애와 함께 술 양조에 많이 사용되는 또 다른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해도 에너지의 변환 효율이 20%에 달하는데, 식물의 광합성은 고작 4%대다. 다섯 배나 차이가 난다.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는 연구를 중단한 기관도 여럿이다.하지만 대다수 연구자들이 식물 연구를 놓지 못하고 있는 건 무한한 가능성 때문이다. 남 교수는 “우리가 아직 알아내지 못했거나, 혹은 알고 ...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1-에틸설파닐에테인-1-티올 성분(양파향)을 빼지 않으면, 두리안의 향과 명확한 감각적인 차이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논문의 저자는 두리안의 10가지 향기 성분이 과일향, 양파향 주로 두 가지 향기로 정리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왼쪽 표). 또 몇몇 성분의 농도가 그것의 냄새 인지 문턱값을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신경망의 작용으로 무의식적인 순간에 발동되기도 하고, 외부 자극의 미세한 차이를 인식해 변하기도 한다.장소세포를 처음 발견한 지 46년이 됐다. 하지만 아직도 다른 네 종류의 내비게이션 세포들과의 정확한 상호작용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는 장소세포와 격자세포의 상호작용에 대한 ... ...
- Part 1. 힘들 때마다 나만의 ‘노동요’를 찾아 듣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같아도 부드럽게 칠 때보다 강하게 칠 때 고주파수 배음이 크게 나타났다. 게다가 이 차이는 사람이 귀로 구분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피아니스트이자 의학박사인 일본 조치대 이공학부 후루야 신이치 교수는 저서 ‘피아니스트의 뇌’에서 “감정들이 솟구치는 것은 곡 자체가 뛰어난 ...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합의된 바는 없다. 고정관념 외에 수학에 대한 자신감, 성차별적인 고용 환경, 취향 차이 등이 후보로 거론될 뿐이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앞으로도 누군가를 숨기지 않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정책은 필요하다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전환하는 경우에도 바로 수술을 결정한 경우와 합병증이나 입원 기간, 진료비 측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는 점이다(doi:10.4174/jkss.2011.80.3.226).2015년에 발표된 미국 네이션와이드아동병원의 연구 결과는 좀 더 극적이다. 병원 연구센터 소속 피터 미네시 박사팀은 복통이 시작된 지 48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 ...
- [Origin] 강아지 고민상담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헝가리 에오트보스로란드대 동물행동학과 에리코 쿠비니 교수팀은 늑대와 개의 가장 큰 차이는 인간에 대한 관심이라고 밝혔습니다. 사람이 지나가면 개는 졸졸 따라가는 등 관심을 보이는데 반해, 늑대는 허기를 느끼지 않는 이상 무관심하게 하늘만 쳐다본다는 것입니다.같은 대학의 클라우디아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해양대기청(NOAA)의 데이터(NCDC), 위성을 사용해서 측정한 온도 데이터(UAH, RSS)를 보면 꽤 차이가 난다. 게다가 기온은 작년에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FACT B동일한 지구의 온도를 재는데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이유는 뭘까. 지상에서는 지표나 해수면의 온도를 직접 재지만, 위성은 지표나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