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멜라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0호
대신 물과 멜라민을 넣어요. 완성된 분유에는 우유가 아주 조금밖에 없지요.❷ 분유가
정상
인지 검사하기 위해 단백질 양을 측정해요.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많이 쓰이는‘켈달 단백질 검사법’은 단백질 자체가 아니라 단백질 안에 있는 질소 성분만 검사하지요. 질소의 양에 6.25를 곱한 값을 ... ...
슬플 땐 안아 주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받는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포옹이나 다독임으로 위로를 받은 침팬지는 곧
정상
적인 행동으로 돌아왔지요. 연구팀은 침팬지의행동으로 미루어 보아 위로를 받아 기분이 좋아진 것이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답니다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병의 원인은 변형 프리온이라는 단백질! 변형 프리온이 뇌의
정상
프리온을 변형시키면서 뇌에 구멍이 나는 것이다. 처음에는 영국의 풍토병 정도로 생각됐지만, 곧 소에게 같은 증상을 일으키는 광우병이 발견되었다.1980년대 영국에서 처음 발견된 광우병의 원인은 ... ...
名品김연아 회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참가해 피겨스케이팅 최강자를 가리는 대회다.그랑프리파이널에서 피겨스케이팅 세계
정상
으로 우뚝 설 김 선수의 스케이팅을 미리 만나보자. 물리를 알면 점프가 보인다피겨스케이팅의 기술은 크게 점프, 스핀, 스텝 3가지로 이뤄진다. 점프는 스케이팅을 하다가 도약해 공중에서 회전을 한 뒤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진동이 일어나
정상
파를 만든다. 대금은 관 자체가 울림통 역할도 한다. 관에 생긴
정상
파의 진동수가 기주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면 공명이 일어나 소리가 커지고 관속을 도는 바람도 소리를 증폭시킨다.대금은 지공이 6개뿐이지만 가장 낮은 옥타브인 ‘저취’(약 230~430Hz), 중간 대역인 ‘평취’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뇌 영상을 찍은 결과 정서적 판단에 중요한 VMPFC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긍
정상
쇄나 부정편향처럼 인지적 처리가 작동하는 판단을 할 때는 DLPFC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진 교수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1991년 정신과 전문의가 됐다. 2002년 연세대 의대 교수로 부임해 현재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되찾지 못한다. 다만 백내장처럼 후천적으로 시력을 잃었을 때는 망막의 시세포가
정상
이기 때문에 수술과 같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시력을 되찾을 수 있다. 강석훈 전문의 >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부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설명하는 동영상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6 오름
정상
으로 가는 길에는 제주도 특산인 제주조릿대가 빽빽이 자란 이국적인 풍경이 펼쳐져 있다.7 짙은 녹색의 뺀질뺀질한 잎이 특징적인 굴거리나무와 잎이 연둣빛인 산수국 어린 개체가 함께 자라고 있다. 산수국은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시카고대에, 박영수 군은 MIT에 각각 다니고 있다. 2006년 10월 ‘형광단백질을 이용한 비
정상
적인 세포주기 연구’란 논문을 공동 발표한 이시항 군도 역시 대통령 과학장학생으로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에 진학했다.그동안 한국청소년과학학술지는 2005년 창간호가 발간된 이래 매년 2권 이상씩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착안했다. 사람의 대장암 세포에서 AMPK의 활성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자 대장암 세포가
정상
으로 돌아왔다. 이 연구결과는 2007년 5월 ‘네이처’에 발표됐다. 정 단장은 “체내 특정 부위에 AMPK의 활성을 올리는 약을 개발하면 일부 암에 항암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난치성 질환을 극복할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