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점
좋은점
강점
이점
메리트
가치
매력
d라이브러리
"
장점
"(으)로 총 2,674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을 살리는 소금, 천일염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해도 쉽게 으스러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엔 천일염의 단점은 개선하고
장점
은 부각시킨 가공 천일염이 등장하고 있다. 함초나 녹차, 해초에서 추출한 물질을 넣어 영양을 업그레이드시킨 소금과, 스프레이 진공건조방법으로 고운 입자 결정을 만들어낸 소금이 대표적인 예다. 함경식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짚으면 니켈수소전지가 덩치는 크지만 능력은 떨어진다는 뜻이다.리튬이온전지의
장점
은 또 있다. 높은 전압을 낼 수 있는 점이다. 전지는 전압이 높을수록 순간적인 출력을 내는 데 유리하다. 이런 전지를 단 자동차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꽉 밟았을 때 반응하는 속도가 빠르다. 지금도 스피드를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상대가 없다”면서 “우주 연구가 큰 도약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오캠의 가장 큰
장점
은 초당 1500프레임이라는 촬영 속도다. 이 성능 덕분에 대기 때문에 별빛이 번지는 현상을 잡아냈다.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 자동차를 DSLR의 셔터 속도를 높여 찍으면 도로 위에 주차한것처럼 보이게 하는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위성 영상 융합 분야에서 최 박사는 세계적인 전문가다. 영상 융합은 여러 가지 영상에서
장점
만 뽑아 새로운 영상을 만들어 내는 분야다. 최 박사는 이미 KAIST(카이스트) 박사과정 때 혼자서 영상 융합에 관한 논문을 써 특허도 받고 마르퀴스 인명사전*에도 올랐다. 최 박사는 "이 분야에서 제가 좋은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테트라포트가 제격인 셈이다. 다른 다면체보다 빈틈없이 촘촘히 쌓을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
이다. 수학적으로 겉넓이가 가장 작으면서 부피가 가장 큰 입체도형이 구라면, 겉넓이가 가장 크면서 가장 적은 부피를 갖는 것이 정사면체이기 때문이다.시멘트를 부어 만든 테트라포트의 표면은 최대한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높여 줘 업체가 가진 재고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운영자금도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습니다.소비자 역시 끼워팔기를 통해 잘 알려지지 않은 브랜드의 물건을 싼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끼워팔기는 그야말로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득이 되는 상생(win-win)의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주는 효과가 있어요. 특히 수학은 원리를 이해해야 하는 과목이기 때문에 마술 수업의
장점
이 가장 크게 나타나죠.마술 수업의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으세요?생활 주변의 모든 것들로부터 얻어요. TV를 볼 때도 '이걸 마술로 하면 좋을까?'하고 생각하면서 보거든요. 언제나 마술 생각뿐이랍니다. ... ...
면발의 힘 글루텐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간장이나 조미료 원료로 많이 쓴다”며 “콩 단백질에 비해 값이 저렴하다는 것도
장점
”이라고 말했다. 또 글루텐은 제품에 점도와 탄력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아이스크림이나 케첩 같은 다양한 식품의 첨가물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사람이 먹는 식품뿐 아니라 가축이나 애완동물, 물고기의 ... ...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타인의 관점에서 진술하도록 만드는 기법으로 대부분의 기억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장점
이 있다.빙의는 다중인격장애?고통과 절규 속에 비참하게 살해된 쌍둥이 동생 두나의 영혼이 언니 하나에게 빙의되는 초자연적 현상. 빙의는 바로 드라마 ‘혼’을 이끌어가는 스토리의 핵심이다. ... ...
수학의 역사와 함께한 χ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거리를 계산하는 문제에서 봤듯이 일반화를 통해 많은 문제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
도 가졌지. 문제를 일반적으로 표현하거나 공식을 세우면 각 사항을 하나하나 쓸 필요 없이 한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거든.문자나 기호가 없던 시절에는 아무리 훌륭한 수학의 내용도 그 뜻을 전달하기가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