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를 인식한 미국 스탠퍼드대 대학생들은 지난해 단돈 20달러에 무릎관절과 똑같이
작동
하는 인공무릎을 만들었다.플라스틱 조각 5개, 볼트와 너트 4쌍으로 구성된 이 인공무릎은 딱딱한 평지는 물론, 물렁거리거나 울퉁불퉁한 바닥도 걸을 수 있다. 아무런 연장이 없어도 한두 시간 만에 조립할 수 ... ...
인기 쑥쑥 ! 인기짱이 되는 과학적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모든 영역이 폭넓게
작동
한다. 재치 있는 말이나 예상치 못한 반전에도 같은 영역이
작동
하는데, 이 부위는 창의력을 발휘하고 호감과 비호감을 느낄 때 활성화하는 영역이다.끄덕끄덕 공감하기썰렁한 농담에 크게 맞장구를 치면 이야기하는 사람은 그 사람과 친밀한 감정을 느낀다. 마치 내가 겪은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끌어당길 때 그냥 들어올리는 것보다는 힘이 덜 들것이다.엘리베이터는 바로 이 원리로
작동
한다. 한쪽에 사람이나 짐을 싣는 ‘카’를 묶고, 다른 한쪽에는 최대 정원의 40~45% 정도가 되는 추를 달아서 권상기라는 모터로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이다. 신기한 물건이로구나. 진작 알고 있었더라면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용한 혼천의의 복원품을 이용해, 전통시대에 가장 대표적인 천문관측기구인 혼천의의
작동
법과 위치측정법을 이해한 것도 큰 성과였다.게다가 아마추어 천문가인 김지현 씨와 김동훈 씨는 최근에 입수한 구경 18인치 돕슨식 망원경을 이용해 달과 행성, 그리고 성단의 모습을 관측팀에게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복제 방식의 이동기술이다. 프로토스에서는 차원 분광기(Warp Prism)가 이런 원리로
작동
한다.두 방법 모두 현재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하다. 워프는 시공간을 휘는 데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고, 물질의 양자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은 100kg 정도의 물질 정보를 전송하는 데 3억 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리기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만들 수 있다. 기존의 DNA 칩이나 암 탐색 단백질 칩에 비해 나노 반도체 칩은 전기적으로
작동
하기 때문에 더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또 청정에너지인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 데 있어서도 나노물질을 이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3. 어디에 있어요?전 세계 대부분의 대학에서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태세다. 아이패드에서는 아이폰의 16만 개의 애플리케이션(2010년 4월 초 기준) 대부분이
작동
한다. 아이패드가 출시되자마자 아이패드 전용으로 올라온 애플리케이션도 3000개에 이르렀다. 애플은 ‘아이북스(ibooks)’라는 전자책 서점도 내놓았다. 가상의 그래픽 서가에 보유 중인 전자책 콘텐츠를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다. 중요한 점은 금속물질의 너비가 빛의 파장과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투명망토가
작동
하려면 금속물질의 너비가 빛의 파장의 10분이 1 수준으로 가늘어야 한다.예를 들어 스미스 교수팀의 최초 투명망토의 경우 파장이 약 3cm인 마이크로파에서 투명하게 보이려면 금속물질의 너비가 3mm ... ...
태평양을 넘어 하와이를 향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비늘은 형언할수 없이 화려한 하늘색으로 아름답다. 하지만 배로 올려지면 색소판이
작동
되지 않아서인지 검은 점들만 남고 화려한 색상은 사라진다. 자연의 생명체가 죽어서 자신의 빛을 잃는 것은 아쉽지만 우리에겐 신선한 단백질 공급원이다.하와이에만 서식하는 하얀 새가 날아왔다. 이 새는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부터 비정상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작동
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나로호 발사가 실패할 경우 3번째 발사가 추진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올해부터 예산이 반영된 후속발사체인 KSLV-II 사업이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