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발 스푸트니크 쇼크는 계속된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추가로 요구해 우주인의 초소형위성 발사실험은 무산됐다”고 말했다. 현재 우주시스템
연구실
에서는 3kg짜리 초소형위성 ‘한누리 3호’를 개발하고 있다.우리나라 여러 기관과 대학에서 초소형위성을 포함한 소형위성을 개발할 능력을 키우며 인프라와 연구인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관련 ... ...
유비쿼터스 세상 앞당기는 증강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서비스도 달라져야 한다는 요구 때문이다. 광주과학기술원 유비쿼터스가상현실
연구실
(U-VR)이 정통부 프론티어 사업인 유비쿼터스 컴퓨팅 과제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CAMAR카피어’는 맥락인지형 모바일 증강현실 기기의 대표적인 예다. 사진기에 붙여 사용하는 CAMAR카피어는 사진을 찍을 당시의 ... ...
광자유체집적소자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파란색 색소가 없는데도 파란색을 띠는 나비가 있다. 주인공은 중남미 아마존 밀림에 사는 몰포나비. 몰포나비 날개엔 색소가 없기 때문에 날개를 잘게 부수면 흰색 가루만 남는다.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양승만 교수는 “몰포 나비 날개의 색은 색소가 아니라 빛과 공기층이 합작해 만든 작품” ... ...
연소공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공기의 혼합 상태와 연료의 분사형태를 바꿔가며 다양한 실험을 했다”고 말했다.
연구실
은 연소기 안의 압력변동과 화염이 타오르는 모습을 측정해 결국 안정적인 운전조건을 찾아냈다.신 교수는 연소공학의 매력에 학생들이 좀더 관심을 가질 것을 당부했다. 그는 “비선형성을 지닌 지수함수를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세포와 조직의 가스교환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계기를 고안했으며 이것은 그 후 많은
연구실
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6원자 고리 모양의 절소헤테로고리 화합물의 하나 말로닐요소라고도 하며 보통은 2수화물로 무색의 기둥모양 결정이다 1881 ~ 1956 독일의 물리학자 · 전기공학자 1907년 괴팅겐 대학을 ... ...
미래 공학도, 날개 펼칠 둥지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청소년 공학 프런티어 캠프’를 열고 있다. 이번 캠프는 7월 25일부터 2박 3일 동안
연구실
체험, 특강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참가 대상은 미래 공학도를 꿈꾸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참가를 원하는 학생은 매년 6월 홈페이지(eng.snu.ac.kr)와 각 고등학교로 발송되는 공문을 참고해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한다 세계적으로 뱀 연구로 유명한 브라질의 연구소 1901년 상파울루 교외 9km 지점에
연구실
과 박물관 · 부속병원이 300ha의 넓은 대지에 건설되었다 단색광을 시료물질에 투사하여 그 시료가 흡수한 빛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 분광측정이라고도 한다빛의 복사에너지의 상대량을 파장의 함수로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아이브의 산실로 주목받고 있다.‘하이테크’ 아닌 신선한 발상으로 세계 1위 ‘ID+IM’
연구실
은 대만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소비자에게 호소력을 갖는 제품은 수준 높은 기술이 아니라 생활 속을 파고드는 아이디어와 디자인에 있다’는 메시지를 던졌다.배 교수는 “최고상인 금상을 받은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생명과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밟다가 답답한
연구실
을 박차고 나와 2000년 초 현대기술투자 바이오분야 투자심사역으로 입문했다.“공학으로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줘야 투자도 늘고 인재가 많이 모이죠. 그래야 공학이 진정한 경쟁력을 갖출 수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더 많이 만들어졌고 가스관 폭발도 잦았다.KAIST 에너지및환경시스템
연구실
의 박영준 연구원은 “얼음처럼 보이는 메탄하이드레이트는 1℃에 29기압이면 만들어진다”며 “자연 상태에서 저온고압 환경은 존재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땅에서는 압력이 1기압씩 높아질수록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