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DGIST 에너지공학전공 - 수소연료전지차의 마지막 퍼즐 최고의 촉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촉진시켜 줄 촉매가 반드시 필요하다. 촉매의 성능에 따라 시간당 생성되는 에너지의 양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현재 촉매는 백금을 주재료로 사용한다. 유 교수는 “백금은 다른 어떤 물질보다도 활성도가 높다”고 말했다. 문제는 가격과 매장량이다. 백금 가격은 금속 중에서도 고가에 속할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세 수라면 (ka, kb, kc) 역시 피타고라스의 세 수가 되므로, m>n이 되도록 아무 양의 정수 m, n, k를 잡고 다음과 같이 나타내도 역시 (a, b, c)가 피타고라스의 세 수가 됩니다. 이런 방법으로 모든 가능한 피타고라스의 세 수를 만들 수 있다는 것 또한 이미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피타고라스의 세 수를 ... ...
- [과학뉴스] 비버가 만든 댐, 강물을 깨끗하게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연구진은 각 연못의 침전물에 포함된 질소의 양도 측정했어요. 질소는 식물 플랑크톤의 양분으로, 농도가 높아지면 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거든요.측정 결과 댐을 통과한 물의 질소 농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비버의 댐이 질소가 섞인 흙을 거르면서 물의 질소 농도도 낮아진 것이죠. ... ...
- [독자와 함께]퓨마 사살과 동물원 폐지 논란 9월 18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주기적으로 대응 훈련을 하고, 1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해서 동물들에게 필요한 마취제 양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동물이 공격성을 보이고 사람의 생명이 위협받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이 사살할 수밖에 없겠지만, 그 전에 미리 여러 방법으로 대비를 한다는 겁니다. 박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난해 12월 미국 스타트업 에너저스(Energous)는 자사의 원거리 전력 전송기 ‘와트업(WattUp)’이 세계 최초로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의 ... 수준의 아주 적은 전력으로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며 “무선 충전 기술이 의료 등 다양한 분야와 만나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차지하고 있는 석탄화력과 원자력 발전량은 2030년 각각 36.1%와 23.9%로 줄이고, 대신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2017년 6.9%에서 2030년 20%까지 3배가량 확대한다는 게 골자다. LNG의 비중도 16.9%에서 18.8%로 늘어난다.비고 사무총장은 “전 세계 에너지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는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래는 변압기의 구조와 변압 과정이다. 특히, 변압기 양끝에서 코일의 감은 수는 양끝에 걸리는 전압과 비례한다. 따라서 변압기로 전압을 높이려면, 1차 코일의 감은 수보다 2차 코일의 감은 수가 많아야 한다. 반대로 변압기로 전압을 낮추려면, 1차 코일의 감은 수가 2차 코일의 감은 수보다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등록된 1179건의 데이터 중 식물이 630건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 286건, 조류 183건, 양서파충류 26건, 어류 12건, 생태계 교란종 5건 등이 있답니다. 수원시 정자동에서는 도심에서 흔히 볼 수 없는 오색딱따구리, 금곡동에서는 수리부엉이가 발견됐어요. 또 좀집게벌레, 날개띠좀잠자리 등 생소한 이름의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쓰레기도 채집했다. 뉴스에서 연일 심각성을 보도해서일까. 연구단은 출발할 때부터 해양 쓰레기에 관심이 많았다. 송영경 KIOST 남해연구소 연구원은 학생들이 직접 대형, 미세 플라스틱을 조사하게 했다. 학생들은 체를 들고 모래에서 크기가 1~5mm인 미세 플라스틱을 걸렀다. 깨끗해 보이는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배우는 내용과 연구에 흥미를 느낀다면 자신이 좋아하는 교과와 성향에 맞춰 다양한 진로가 열려있기 때문에 누구든 에너지 분야의 리더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게 허 학과장의 생각이다.가령 수학이나 물리학에 흥미가 있는 학생이라면 물리탐사나 수치해석을 전공할 수 있다. 또 화학이나 생물학을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