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d라이브러리
"
시절
"(으)로 총 2,2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할아버지는 어떻게 해야 예전처럼 멀리 볼 수 있냐고 필자에게 물었다. 그는 젊은
시절
600만불 사나이 같았던 시력을 회복하고 싶어 했다.안경에 1차 코일, 눈 안에 2차 코일?근시와 백내장은 현대인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양대 요인이다.근시를 가진 현대인이 점점 늘고 있다. 한림대 의대 최동규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기가 좋지 않다. 물집을 일으키는 주범은 바로 헤르페스바이러스. 모든 사람들은 어린
시절
여러 유형의 헤르페스바이러스에 감염된다. 우리 몸의 면역계는 이 녀석들을 완전히 소탕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체의 어딘가에는 헤르페스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다. 피로나 스트레스가 누적돼 인체의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토론형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미국 뉴욕에 살면서도 집과 실험실만 오가던 유학
시절
은 제게도 엄청난 스트레스였습니다. 딴 생각을 할 틈조차 없었죠. 하지만 제자들은 좀 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연구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실험실에 있는 학생들의 마음을 누구보다도 잘 헤아리는 ... ...
명작으로 다시 보는 쥐 요건 몰랐'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건너온 뼈대 있는 집안 아주 먼 옛날 온 세상이 차가운 얼음으로 뒤덮였던
시절
이 있었으니~, 그 때가 바로 빙하시대. 쥐를 보여준다면서 왜 빙하시대로 왔냐고? 저기 저쪽을 보라! 영화‘아이스에이지’의 스크랫이 도토리를 숨기기 위해 얼음을 열심히 파고 있지 않은가! 응? 스크랫은 다람쥐인데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관심을 갖게 됐고 이향원 선생님의 만화를 탐독하며 동물에 대한 사랑을 키웠던 어린
시절
이 기억난다.선구자 역할을 했던 이 작가들의 작품, 비록 불법 복제 형태로 소개됐지만 많은 어린이들의 꿈을 키워줬던 ‘바벨2세’ 같은 외국만화들이 없었다면 1970년대 과학자의 꿈을 키운 ‘사이언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정신과 의사인 요아힘 바우어 박사는 2005년 펴낸 저서 ‘공감의 심리학’에서 어린
시절
접하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TV나 게임을 통해 폭력적인 장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아이 자신이 폭력적인 행위를 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폭력의 거울뉴런이 활성화되는 셈이다.또 어릴 ... ...
질환 단백질의 입체구조에 맞는 열쇠 찾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것이 그의 설명이다.전 단장은 생명공학벤처기업인 크리스탈지노믹스에 몸담고 있던
시절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의 3차원 결합구조와 그 작용 메커니즘을 밝혀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는 “질환 단백질 연구 같은 기초 연구를 하기 위해 기초연으로 자리를 옮겼다”며 “앞으로 암뿐만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함께 그린 드로잉에는 그들이 사랑한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프랑스에서 요양하던
시절
출산을 앞둔 잔과 모딜리아니는 두 손을 꼭 잡은 채 미소를 짓고 있다. 격자로 짜인 촘촘한 의자와 꼭 잡은 두 손은 그들의 영혼이 굳게 결합돼있음을 암시한다.미술치료에도 환자와 치료자가 함께 그림을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소개하리라 마음먹었다. 그 소원을 30년이 지난 오늘에서야 이룬 것이다.…”초등학교
시절
탐구생활을 옆구리에 낀 채 산천을 내 집처럼 누볐던 과학소년, 소녀라면 누구나 비슷한 기억이 있을 것이다. 배추흰나비를 정처 없이 쫓으며 채집망을 휘둘러 잡았을 때의 쾌감과 그 조그만 몸통에 실핀을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파악하는 장비다. 그런데 분자의 크기가 크면 NMR로 구조를 알기 힘들다. 박사후연구원
시절
NMR을 뒤로 하고 X선 결정학에 뛰어들었다. 그 당시 그의 지도교수는 전달RNA(tRNA)의 구조를 밝혀 세계의 주목을 받았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김성호 교수다.파장이 짧은 X선을 이용하면 NMR로 보기 어려운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