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로"(으)로 총 1,3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과학동아 l1990년 11호
- 순서로 된 함수(函數)의 번호가 새겨져 있다.그러나 경판들 중에는 판본 및 판면의 가로·세로 길이와 행수 자수 글자의 크기들이 꼭 같지 않은 것들도 있다. 또 윤곽과 괘선이 있는 것, 한면만 조각한 것도 있다. 16년이라는 장기간 동안 제작하면서 때에 따라 제작기법이 조금씩 달라졌기 때문이 ... ...
- 한글 문서의 출력방법과학동아 l1990년 11호
- 2로 하면 빈 줄이 두개 생긴다. 은 가로 찍기와 세로 찍기중 하나를 지정한다. 세로 찍기를 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는 한글을 인쇄하는데 사용하는 모양을 바꿀 수 있게 해준다. HANGUL 1.PFT HANGUL2.PFT HANGUL3.PFT 중 하나를 선택할 수 ...
- 세계인쇄사의 원년을 바꾸다과학동아 l1990년 10호
- 있었다.그러던 중 다라니경 인쇄 두루마리가 국내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두루마리는 세로 6.5cm, 가로 52cm 가량 되는 인쇄지면 12폭으로 총길이가 7m 쯤 되었다. 아무튼 이 인쇄물의 출현은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 인쇄술의 시작에 대한 새로운 학설을 낳게 했다.학자들은 이 새로운 사실을 앞에 ...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과학동아 l1990년 10호
- TV화면이나 컴퓨터스크린은 보통 가로 세로 각각 5백12개의 픽셀로 구성된 것과, 가로 세로 각각 1천24개의 전부 1백4만8천5백76개의 픽셀로 구성된 것이 있으며, 이보다 더 섬세한 스크린 화면도 있다.현재 스크린 표면에 나타나는 많은 픽셀들은 자신의 표현색상 외에도 7~22개 또는 그 이상의 ... ...
- 「얌체새」 뻐꾸기의 번식법과학동아 l1990년 09호
- 끈적거리지 않는 세로줄로 엮어져 있다. 거미는 끈적거리는 가로줄 위를 걷는 일이 없이 세로줄 위만 걷기 때문에 거미줄에 걸리는 일이 없다. 또 거미의 발끝에는 기름이 붙어 있으므로 만약 가로줄에 발이 닿았다 해도 쉽게 떨어진다.풀거미는 끈적거리지 않는 줄로 나뭇가지 사이에 거미줄을 ... ...
- 체험하는 영화「아이맥스」과학동아 l1990년 06호
- 필름 크기가 일반 35㎜ 영화의 10배, 초당 필름사용량은 3배에 이른다. 화면도 가로 25m, 세로 18m의 초대형이다.아이맥스 영화는 무게 90파운드의 특수카메라로 촬영한다. 사실감 넘치는 영상효과를 얻기 위해 항공촬영이나 수중촬영 등 특수한 영상기법을 동원하기도 한다. 또 일반 영사기의 5배 크기인 ... ...
- ④ 숫자를 그림으로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있는 셀(C1)을 \C1과 같이 지정하는 것이 수정하기가 편하다.Grid : 그래프에 가로선이나 세로선을 깔아줄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깔아주지 않는 것이 깨끗해서 좋다.Scale : X축이나 Y축의 눈금을 조정하는 기능이다. 보통은 자동으로 처리되므로 조정할 필요는 별로 없다.Date Label : 여러 ... ...
- 마이크로의 세계로 인도하는 셈(SEM)과 템(TEM)의 나상(裸像)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집속렌즈에 의해 집속된 채로 주사코일을 통과하는데, 이곳에서 외부 주사신호에 의해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주사하게 된다.이때 여러 신호들이 시편상에 발생되므로 이들 신호를 검출, 영상신호를 만든다. 이 신호는 브라운관의 화면위에 최종적인 상을 형성시킨다.필라멘트는 웨넬트캡의 홀 ... ...
-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과학동아 l1990년 04호
- 크기도 작아질 수 밖에 없다. 실제 경기에서도 마이크로 마우스의 크기는 가로·세로가 각각 25cm 이내로 한정돼 있다. 이처럼 작은 마이크로 마우스 안에 전지마이크로컴퓨터 센서 모터 등을 모두 싣고 그것만을 이용해 미로의 목적점(가운데)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미로가 경기당일까지 전혀 ... ...
- W, Z입자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0년 04호
- 위해 도입한 장치는 당시 가격이 1백40억원에 이른 고가의 장치였다. 무게가 2천t, 가로 5m, 세로 5m, 높이 10m인 당시로서 가장 큰 검출장치였다.SPS를 시험가동해서 성공하고, UA검출장치를 지하 25m의 제1지하구역(underground area 1)에 정확히 안치시킨 후 데이터를 모으기 시작한 것은 82년 11월이었다.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