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 터뷰] 우주과학자? 기업가? 당신의 본캐는? 컨텍 이성희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갈 필요가 없을지도 몰라요. 이미 여러 플랫폼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전 세계의 전문가들과 이야기 나눌 수 있거든요. 다만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으로 생각해야 해요. 우주과학자 안에도 이론물리학, 로켓공학, 에너지공학 등 여러 분야가 있거든요. ... ...
- [특집] 점에 대한 모든 것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작품을 만들었어요. 이라는 책도 썼지요. 칸딘스키는 책에서 “점은 하나의 작은 세계”라고 말했어요. 세상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가 점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점들이 쭉 이어지면 선이 돼요. 그리고 선들이 서로 수없이 맞물리면서 면이 생긴다고 봤지요. “존재하지만 보이지 ... ...
- [특집] 점이 만든 새로운 차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으으악, 내 몸이 이상해! 점점 부풀어 오르고 있어!”붉은 얼굴 점이 깔깔 웃으며 말했어.“놀라긴 일러. 저 아래를 봐! 우린 지금 점선면 마을의 ‘위’에 있 ... 만나 입체로 우뚝 솟은 ‘3차원’ 세계예요. 즉, 우리는 아주 작은 점에서 시작된 3차원 입체 세계에서 살고있는 거랍니다 ... ...
- [특집] 미래 화폐 최강자를 가린다? 암호화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우리는 지폐, 동전 같은 현금이나 카드를 주로 쓰지만, 태평양의 작은 섬 ‘얍’에선 돌덩이도 화폐로 사용됐다는 사실, 알고 있니? 심지어 과거엔 동물 이빨이나, 보리 ...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Part3. [특집] 암호화폐 아직은 반쪽짜리 화폐?Part4.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 ... ...
- [특집] 암호화폐 때문에 숲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한 해에 111.51TWh(테라와트시)의 전기가 소비된다고 발표했어요.● 국가로 따지면 세계 33위로, 네덜란드와 맞먹는 수준이에요. 지난 4월, 중국과학원 등 공동연구팀은 2024년엔 암호화폐 채굴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절정에 이르러 중국에서만도 약 296.59TWh의 전기가 소비되고, 1억 3000만t(톤)의 ... ...
- [기획] 코로나19 때문에 살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있는 걸까? 범인은 바뀐 생활 환경!지난해 3월 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를 세계적 대유행으로 선언한 후, 비만이거나 과체중인 어린이 청소년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지난 1월 20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안문배 교수팀이 서울성모병원 소아과 성장클리닉에 등록된 4~14세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갑각류는 딱딱한 외골격 껍데기를 가진 동물들의 분류군이에요.세계적으로 약 6만 7000종에 이르는 갑각류가 발견되었는데, 대부분은 수생동물이에요. 게, 바닷가재, 새우, 크릴새우 등이 대표적인 갑각류죠. 물론 쥐며느리처럼 육지에서 사는 갑각류도 있고, 다른 동물에게 ... ...
- [그래프뉴스] 소고기 먹을 때마다 온실가스가 뿜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메탄, 아산화질소 등이에요.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세계 200여 개 나라에서 나온 온실가스 양을 계산했어요. 소닭돼지 같은 가축 16가지와 쌀밀옥수수 같은 농작물 171가지를 기를 때 각각 온실가스가 얼마나 나오는지도 연구했죠. 그 결과, 사람들의 먹거리를 만들기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주 목요일엔 개미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연구원이 발로 뛰며 기록을 해도 수많은 대원이 모은 기록을 따라가지 못합니다. 이는 전 세계 어디나 똑같을 것입니다. 지사탐 대원분들이 정기적으로 쌓은 탐사 기록을 통해 개미들이 어떤 주기성을 가지고 활동하는지, 어떻게 분포하는지 알아갈 수 있을 거예요. 질문 4올해 군입대를 하신다고요. ... ...
- [특집] 식중독 악당들의 정체를 공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4시간 동안 가열해도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다.원인식품 볶음밥, 김밥 등. 특징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세균성 식중독균 중 하나다. 42~43℃에서 잘 증식해 닭처럼 인간보다 체온이 높은 가금류의 장 속에서 주로 산다. 잠복 기간이 최대 10일로, 초기에 발열과 근육통이 있다가 이후 구토와 복통,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