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합성을 알면 친환경 에너지도 OK!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산화물과 아연 **포피린
분자
를결합시켰어요. 이 결합물에 빛을 쏘이면 광합성처럼 물
분자
를 분해해 수소 에너지를 만들어 낸답니다. 이전에는 수소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 전기가 필요했지만, 이 방법은 전기 없이 수소 에너지를 만들 수 있어요.* 이리듐 : 은백색 금속으로, 잘 부서지는 성질이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꽃과를 수련 목(目) 아래 뒀죠. 분류단계인 ‘종속과목강문계’ 아시죠? 그런데 최근
분자
유전학, 즉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기술이 분류학에 도입되면서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연꽃과는 마카다미아(맛있는 너트가 열리는 식물입니다)가 속하는 프로테아과와 플라타너스(가로수로 ... ...
헬륨 부족하면 첨단 연구도 STOP! 헬륨 위기가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다. 심해잠수용 산소통에 들어 있는 기체는 헬륨과 산소를 혼합한 것이다. 헬륨은
분자
가 작아 매우 작은 구멍도 통과할 수 있어 배관이 새는지 알아내는 비파괴 검사에도 쓰인다. 행사나 이벤트에서 날려 보내는 알록달록하고 예쁜 풍선에 들어가는 헬륨의 수요도 의외로 많다. 헬륨은 불에 타는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얻었다. BrdU는 DNA가 합성될 때 참여하는 뉴클레오시드 가운데 하나인 티미딘과 비슷한
분자
다. 이 때문에 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서 DNA가 복제될 때 티미딘 대신 DNA 사슬에 끼여 들어간다. 암세포의 경우 세포분열이 왕성하므로 DNA에 BrdU가 포함돼 있다. 따라서 BrdU의 항체를 처리했을 때 반응하는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압축되며 기둥의 높이(두께)가 줄어든다. 편서풍의 포텐셜 와도가 보존되기 위해
분자
에 해당하는 절대 와도가 감소한다. 특별한 위도의 변화가 없다면 상대 와도 성분이 감소한다. 이는 시계 방향의 운동 성분을 만들어 공기 덩어리를 저위도 지방으로 이동시킨다(∵서풍), 관성에 의해 처음 ... ...
아핀변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즉 Bmp4 유전자가 많이 발현됐다는 말이다. 연구자들은 “부리의 발달 과정에서 신호
분자
의 유전자 발현 변화가부리 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결국 갈라파고스에 살게 된 핀치는 이들 몇몇 유전자의 발현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서식 환경에 따라 구할 수 있는 먹이에 맞게 부리의 ... ...
첨단 과학 이끄는 대형 연구단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현상과 난치성 질병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해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물질을 개발하는
분자
의약 분야, 식물을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식물바이오텍 분야, 생물에서 나노바이오 시스템을 발굴해 내는 나노바이오텍 분야 등이 있다.이번에는 포항나노기술집적센터와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알고 있다고 가정하자. 직선경로에서 추가적인 유기
분자
를 넣었을 때는 추가된
분자
부터 시작되는 대사반응에 소비되는 산소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③번 숙신산을 추가로 일정량 넣었을 때 결국 ③→④→⑤→⑥ 과정에서 필요한 산소가 소비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분자
의 운동에너지가 커지며 온도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수소결합이 깨진다. 때문에 물
분자
가 쉽게 흥분하질 못한다. 하지만 36℃ 이상이 되면 물도 일반 액체와 비슷해진다. 이렇게 물의 비열용량이 큰 덕분에 지구는 온화한 기후를 유지할 수 있다. 뜨거운 태양빛을 받아도 쉽게 데워지거나 차가운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나머지 한마리는 체중이 준다. 과식한 쥐의 몸에서 “이제 그만 먹어!”라고 하는 신호
분자
, 즉 호르몬이 분비돼 혈관을 순환해 결국 옆에 있는 쥐까지 식욕이 떨어지기 때문이다.또 ob 쥐와 정상 쥐를 병체결합하면 ob 쥐의 식탐이 줄고 체중도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정상 쥐의 식욕억제 호르몬이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