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롭게 성장하기도 한다. 박용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지체구조물리학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은 “감람석은 현무암 속에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들어있거나, 맨틀포획암(지하 깊은 곳의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할 때, 주변의 맨틀이 포획되어 올라온 암석)의 형태로 자주 산출된다”고 설명했다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津田 雄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박사와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츠다 박사의 설명을 토대로 기사를 재구성했다. 소행성 ‘류구’로 떠난 ‘하야부사2’태양계에는 모두 70만 개 이상의 소행성이 있습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지만 크기가 아주 작은 천체들로, 주로 화성과 목성 궤도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도는 ‘달’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10월 3일자에 발표했다. 이 대학 천문학과 데이비드 키핑 교수와 알렉시스 티치 박사과정 연구원은 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견한 외계행성 284개를 분석했다. 그 중 지구에서 80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케플러-1652b’를 주목했다. 그리고 케플러우주망원경보다 해상도가 4배 높은 ... ...
- 물리학상 - 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명언을 떠올리게 된다. 이용구서울대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삼성SDS를 거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GIST 기계공학부 교수로 있다. 2000년부터 광집게를 연구했으며, 이외에도 자율주행자동차와 3D 및 4D 프린팅 등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후를 전망하고 원인을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hglim@postech.ac ...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수리연)도 한 의과대학과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승규 박사는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튜링 모형)을 이용해 지문 패턴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원인을 연구 중인데, 이런 연구는 의수나 로봇 손을 만들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생물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에 수학자가 필요한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난해 JSPS가 외국인 연구원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홋카이도 의학대학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연구했고, 올해는 JSPS에서 신진 연구자에게 지원하는 스타트업 연구비를 지원 받았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안정적인 지원 덕분에 기초 연구를 계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노벨상 ...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가 주인을 자꾸 물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의사가 된 뒤, 서울대에서 동물행동의학 및 야생동물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내 최초로 동물의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비아동물행동클리닉을 운영했고, 해마루케어센터 센터장으로 동물정신과와 호스피스 진료를 했다. 현재는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 ...
- 장교식 건국대 입학처장 - “기본기에 충실해야 유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제강점기였던 1931년 유석창 박사가 개원한 민중병원과, 해방 이후 1946년 개교한 조선정치학관을 시작 으로 하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대학이다. 건국대는 올해 영국 타임스가 발표한 ‘2018 THE 아시아·태평양 대학 평가’에서 95위로, 100위 안에 드는 쾌거를 거뒀다, 국내 대학 중에 서는 14위를 ... ...
- [과학뉴스] ‘조상 찾기 서비스’로 범인 잡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90~99%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김재희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친족 확인도 30% 이상 맞히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doi:10.1016/j.cell.2018.09.00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