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d라이브러리
"
바닥
"(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톨먼이 먼저 이 가설의 검증에 나섰다. 그는 통계역학적으로 들뜬상태의 원자들의 수가
바닥
상태의 원자들에 비해 매우 적어서 외부 에너지가 들뜬상태의 원자들을 만나 유도방출이 일어날 확률이 매우 희박하다고 봤다. 실제로 원자는 들뜬상태에 100만 분의 1초 이하로 지극히 짧게 머물러 광자가 ... ...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이면 절에서 종이로 연꽃을 만들기도 하죠. 종이 연꽃은
바닥
에 8장의 꽃잎을 붙이고 두 잎 사이의 가운데에 맞춰 다음 8개의 꽃잎을 붙여서 만들어요. 하지만 진짜 연꽃은 꽃잎 두 장 사이의 가운데가 아니라 한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습니다. 다른 두 장의 꽃잎과의 평균 ... ...
기호 5 예술가의 고뇌와 닮은 미로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조금 더 복잡하긴 하지만 미노타우로스가 갇혔던 미로를 만들어 거실이나 화장실
바닥
에 장식했어요. 그런데 제가 누군데 그러냐고요? 전 예술가입니다. 어떤 영감이 떠올랐을 때 그것을 완벽하게 표현하기위해선 고뇌와갈등을 하지요. 그건 마치 미로의 출구를 찾아 길을 헤매는 것과 같아요. 그런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때문에 산란기가 되면 좋은 환경을 찾아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지금의 강
바닥
은 부유물로 뒤덮이고 물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밭을 찾는 일이 더욱 어려워졌다. 무엇보다도 큰 문제는 황복이 올라갈 강줄기를 막고 있는 보와 댐이다. 대규모의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김이나 파래 같은 해조류에 이르기까지 무엇이든 먹어치우는 잡식성 어종이다. 보통 모래
바닥
으로 된 5~50m 정도의 수심에 살지만 암초지대에도 많고 때로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까지 올라오기도 한다.감성돔은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4~6월 정도에 산란기를 맞는다. 산란을 마친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스탠드에는 투명한 실험 용기들이 걸려 있었다. 플라스틱 용기인가 싶어 다가갔더니
바닥
에서 ‘빠지직’ 뭔가 깨지는 소리가 났다. 투명한 용기는 다름 아닌 유리였다.“고분자를 합성할 때 물이나 산소가 들어가면 합성과정에서 반응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유리용기를 펌프에 연결해서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때 “쥐구멍에 숨고 싶다”는 말을 한다. 쥐구멍은 말 그대로 쥐가 드나드는, 벽이나
바닥
에 나 있는 작은 구멍이다.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턱없이 작을뿐더러 내부는 어두컴컴하고 칙칙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쥐구멍에 들어가겠다고 하는 건 사람들의 시선을 피해 몸을 숨기고 싶은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떠 있는 플로트(float) 건물은 튜브처럼 속이 빈부유체를 건물 아래 띄우고, 바다나 강
바닥
에 500톤 이상의 사각형 콘크리트나 닻처럼 무거운 물체를 박아 건물을 지탱한다.DAY 2 숙소 생활자연의 에너지로 집 안을 채우다!드디어 숙소에 도착! 어라? 지붕에 잔디가 있네? 번쩍번쩍 태양전지판도 있고. ... ...
의뢰 2 도박으로 날린 돈을 찾아 주세요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피노키오? 거짓말 탐지를 의뢰한 한탕만입니다. 절 좀 도와 주세요.”무슨 일일까요? 길
바닥
에서 우는 모습이 뭔가 딱한 사정이 있는 것 같은데….“얼마 전 돼지꿈을 꿔 전 재산을 카드게임과 로또복권에 쏟아 부었습니다. 그런데 그만 한 푼도 건지지 못하고 다 잃었습니다. 이건 분명히 음모예요.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일부 전문가들은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가 폭발했을 때 누출된 방사능이 강
바닥
에 남아 있어 비정상적으로 커다란 메기 변종이 탄생했다고 추측하고 있다. 생물이 방사능 물질에 노출됐을 경우 생리적, 생태적인 변화와 기형을 낳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국내에서는 북한이 핵실험을 할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