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규정. 유럽연합의 법으로써유럽연합에 속해있거나 유럽경제지역에 속해있는 모든 사람들의사생활 보호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규제. #Scene 2 C 고등학교 ‘AI 교육’ 수업 시간 교사 D 오늘 수업에서는 AI 윤리 문제를 살펴볼게요. 어떤 이슈들이 있을까요?학생 E 최근에 어떤 데이팅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체온을 올리고 수액을 주입한 뒤 이버멕틴과 같은 구충제를 주사하면 회복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감염 초기에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야생동물은 포식자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자신의 약점을 쉬이 드러내지 않는다.그래서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중요하다. 발견자 중에서는 너구리의 흉한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대표적이다. doi: 10.1038/nature13302 김 교수는 “유전체 지도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 인간의 모든 정보를 알아냈다고 생각했지만, 단백질을 들여다보면 유전체 지도만으로는 알 수 없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김 교수의 목표는 한국인의 단백체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국내 임상의사들과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하나예요. 삼각뿔을 제외하고는 ‘각뿔의 꼭짓점’ 개수는 모두 1개예요. 삼각뿔은 모든 면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어떤 면을 밑면으로 두는가에 따라 ‘각뿔의 꼭짓점’이 달라져요. 입체도형에서 밑면은 높이를 재는 방향과 수직인 면을 말해요. 삼각뿔은 어떻게 놓느냐에 따라 네 면 모두 밑면이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도형이기 때문입니다. 앞에서 본 정삼각형의 대칭이동은 6개였습니다. 이를 일반화하면 모든 정n각형은 2n개의 대칭이동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군론에서는 ‘정n각형 이면군’이라 부르며, 주로 D2n으로 표현합니다. 그럼 원의 대칭은 몇 개일까요? 잠시 생각해 보면 원은 어떻게 ...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남겼습니다. 특히 정수론에서는 ‘시에르핀스키 수’가 유명합니다. 시에르핀스키 수는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k×2n-1이 합성수가 되게 하는 홀수 k를 말합니다. 합성수는 1과 자신 이외의 수를 약수로 갖는 수를 뜻하죠. 시에르핀스키는 가장 작은 시에르핀스키 수가 7만 8557일 것으로 추측했는데, 이는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단지는 사실 한국 과학자가 발명한 나노봇 덕분이었다. 나노봇을 주입받은 도로시는 모든 신경이 손상되는 병을 이겨내고, 외부의 죽어가는 세포와 신호를 주고받는다. 도로시와 교감한 생명은 다시 생기를 얻는다. 어떻게 이게 가능한지는 누구도, 심지어 발명자조차 모른다. 죽어가는 세포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산산히 분해해 버리는 모습을 보여 줄 예정이었다. 그 철저한 승리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모든 우리우리스 종족이 우리우리스 종족 스스로의 우월함을 깊게 신봉하면서 다시 한 마음 한 뜻으로 뭉칠 수 있을 것이다.3차전을 준비하면서 우리우리스 위원회는 혹시 모를 싸움의 여파가 외부에 영향을 ...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꽃잎까지. 봄을 맞아 만발하는 꽃을 보고 있자면 감동마저 느껴진다. 하지만 만약 세상에 모든 꽃이 똑같다면 이렇게까지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2월 8일 경기 고양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지금까지 없는 새로운 장미를 만들고 있는 허문선 화훼연구팀 부팀장을 만났다. “여기가 세상에 단 하나뿐인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연산 기계로, 읽고 쓰는 장치와 작동 규칙표로 구성돼 있다. 내 이론에 의하면 이 기계로 모든 계산 문제를 풀 수 있다.에니그마는 타자기처럼 쓰는 암호다. 알파벳을 입력하면 타자기 안에 맞물린 여러 톱니바퀴가 돌아가면서 다른 알파벳으로 바뀌어 나온다. 침몰한 독일 잠수함에서 암호책과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