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전"(으)로 총 1,9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그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왕성한 입을 가진’ 전차가 발명돼 모든 방향을 파괴할 것이라고 예언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이것들은 각각 기관총, 잠수함, 탱크 등으로 실현됐다.네이피어는 20년 동안 정성을 들여 복잡한 계산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로그 이론을 개발했다. 그가 최종적으로 정의한 네이피어 로그(Nap log)는 Nap ...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그런데 이게 최악의 노벨생리의학상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다.DDT는 발명되자마자 2차대전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또 하나의 전쟁이라고 할 수 있는 곤충과 전염병과의 전쟁에서 이보다 좋은 무기가 없었던 것이다. 군대가 머무는 곳마다 말라리아, 티푸스, 페스트 등을 옮기는 해충과 ... ...
-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인류를 유토피아로 이끌 것이라는 믿음을 굳게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두차례의 세계대전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등장한 독가스, 원자폭탄과 같은 고성능 무기들은 그 이전의 전쟁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만큼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다. 더구나 얼마전부터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가 인류의 ... ...
- 유전자 혁명과 레이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0세기의 허리를 싹둑 잘라냈던 2차대전이 끝나자 이데올로기를 압세운 냉전이 다시 똬리를 튼다. 공교롭게도 동서냉전의 최전선은 한국. 그때 시작된 분단은 50년에 걸쳐 한민족의 눈물을 자아내고 있다. 그러나 이 슬픔을 아는지 모르는지 과학의 수레바퀴는 생명복제의 비밀을 풀고 최초의 ...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과학동아 l1999년 07호
- 크릭을 운명적으로 만났다.크릭은 원래 양자역학을 공부했던 물리학자다. 그런데 2차대전에 참가하던 중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슈뢰딩거(1887-1961,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가 쓴 '생명이란 무엇인가' (1944)를 읽고 감명받아 전공을 생물학으로 바꿨다. 생명의 본질을 양자역학으로 설명하려고 ... ...
- DNA에 암호를 담는다과학동아 l1999년 07호
- DNA 안에 암호메시지를 숨기는 방법이 개발됐다. 2차대전 중에 나찌 스파이들은 암호가 내장된 점을 문장 끝에 마침표로 찍어 아무런 의심을 받지 않고 우편을 통해 전달될 수 있었다. ‘네이처’지 최근호가 소개한 새로운 암호기법은 이와 매우 흡사하다.분자생물학자 카터 뱅크로프트와 연구팀이 ... ...
- 3. 미래의 달여행과학동아 l1999년 07호
- 미국 로켓과학자 크라프트 에리케(1917-1984)다. 그는 12살에 독일로켓협회에 참가했고, 2차대전 때는 페네뮌데에서 V2로켓을 개발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전쟁이 끝나자 ‘페이퍼 클립 프로젝트’(미국이 나치스 과학자들을 유치하기 위한 수립한 계획)에 따라 폰 브라운(1912-1977)과 함께 미국으로 ... ...
- ③ 일방적 승리는 없다 절충이 있을 뿐과학동아 l1999년 07호
- 보건부의 카메론 박사는 “전쟁이 더욱 많은 질병을 낳고 있다”고 논평하고 1차 세계대전 당시 총탄에 맞아 사망한 사람보다 바이러스에 감염돼 희생된 수가 더 많았다는 점을 환기시켰다. 그는 일례로 앙골라에서 25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정부군과 반정부군 간의 전투 때문에 지난 2개월 동안 수도 ...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과학동아 l1999년 07호
- 비밀무기는 1944년 영국을 공포에 떨게 했던 V2로켓. V는 ‘복수의 무기’라는 뜻이다.2차대전이 끝난 후 페네뮌데는 러시아군에게 점령됐다. 그러나 브라운을 비롯한 우수한 로켓과학자들이 미국으로 투항했기 때문에, 러시아는 버려진 V2로켓 부품과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몇몇 로켓과학자들을 ... ...
- 반도체혁명 일으킨 트랜지스터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보여줬다. 금속판이 양으로 대전되면 전자들이 금속판으로 몰려 전류가 흐르고, 음으로 대전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은 것. 이 장치는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플레밍은 이렇게 해서 최초의 2극 진공관을 만들었다.1907년에는 미국의 리 드포리스트(1873-1961)가 이를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