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알고 있다?’ 미국 암허스트 소재 매사추세츠대 천문학과 윤민수 교수의 ‘특기’다.
다만
그 대상이 사람이 아니라 우주일 뿐. 인간의 평균 수명을 70세로 보면 우주의 나이가 현재 137억년이니까 빅뱅 후 1억년 쯤 지난 우주는 한 살 된 갓난아기인 셈이다.정작 당사자는 알지 못해도 빛바랜 사진과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방법인데, 현재 어떤 수술보다 중증 파킨슨병 환자에게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다만
고가의 비용을 감수해야 하며 피부에 삽입된 건전지를 수년마다 교체해야 한다.인공와우처럼 실용화되지는 않았으나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가 뇌-기계 접속에 의한 시력회복으로, 인공망막, 시신경 자극술, ... ...
우주개발에 대해 알고 싶은 7가지 궁금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우주로 향해 날아가는 로켓의 모습을 보면 금방이라도 우주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다만
아쉬운 것은 발사 장소가 모두 외국이라는 것. 하지만 2년 후면 우리나라에서도 그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전라남도 고흥의 외나로도에는 지금 로켓을 발사할 우주센터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름은 ... ...
디지털을 노래하는 스파이더맨 - (주)레인콤 대표이사 양덕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하게 살았어요. 그때그때 끌리는 것에 열심히 파고들고 그러다 보니 길을 찾은 셈이죠.
다만
그 길에서 최선을 다했습니다.”직원 7명으로 시작한 레인콤은 처음에는 미국의 소닉블루라는 회사에 MP3플레이어를 납품했다. 1년 뒤 위기가 찾아왔다. 소닉블루가 대금결제를 미뤘다. 양 사장은 고민 끝에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것이다. 황 교수는 “복제개 10마리가 일반 개 100마리 몫을 해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다만
이런 가정은 복제개를 다수 만들어야 의미가 있다. 현재와 같은 복제 성공률로는 복제개를 만드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 오히려 비효율적이다.더욱 기대되는 분야는 개의 줄기세포 연구다. 황 교수는 ... ...
달하 노피곰 도댜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오늘 크게 느껴진다거나 작게 느껴진다거나 하는 정도는 생각보다 쉽게 구분된다.
다만
달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수록 상대적으로 더 크게 느끼기 때문에 달이 하늘 높이 있을 경우에 비교하는 것이 좋다.실제로 달의 시반경은 가장 클 때는 각크기가 16분 45초에 이르고 가장 작을 때는 14분 40초로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매우 유리하다. 원숭이 난자는 현미경에서 핵의 모습이 뚜렷하게 보여 제거하기 쉽다.
다만
복제 수정란을 대리모 자궁에 착상하고 임신을 유지하는 일이 어렵다. 지난해 섀튼 교수팀은 원숭이 복제 배아를 대리모 자궁에 이식했다. 임신에는 성공했지만 한 달이 지나지 않아 모두 유산됐다. 복제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변하고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 힘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것이다.
다만
사람만한 크기의 금속 막대로 과연 영화만큼 센 전기를 만들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주인공 격인 ‘판타스틱’은 온몸이 고무처럼 자유자재로 늘어난다. 이것도 일리가 있다. 고무를 연구하고 있는 내 친구인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옮겨져 가늘게 부서진 다음, 위액이 분비되는 네째위(주름위)로 이동, 비로소 소화된다
다만
낙타과와 애기사슴과는 겹주름위와 주름위가 분화되지 않아 방이 3개이다생물체의 발광(發光)에 관계하는 물질 발광 관련 효소인 루시페라제(luciferase)와 결합하여 발광을 일으킨다 여러 종류의 루시페린이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아직까지 ‘호랑이’라는 정보가 우리 뇌에서 왜 공포를 유발하는지는 모르고 있다.
다만
동물실험에 따르면 이는 태어날 때부터 갖는 유전적 본능과 후천적 경험이 모두 작용하는 것이다. 고양이를 처음 보는 생쥐도 일단 냄새를 맡으면 줄행랑을 치는 건 본능이고, 전선을 물어뜯던 생쥐가 감전된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