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초상화 교실 ‘ 비스무리 그리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완성하라!썰렁홈즈가 텐트 안으로 들어가자 그곳에는 퍼즐 조각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그림이 벽에 걸려 있었다. 그 벽 뒤에서 얼굴을 빼꼼 내민 ‘비스무리 그리마’가 말했다. “이런이런~. 너무 큰 소리로 과학자 이름을 외치는 바람에 공들여 맞춰 놓은 퍼즐조각들이 우수수 떨어졌소. 이 퍼즐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현 세대보다 더 많이 남기게 된다(오른쪽 페이지 그림 참조).이처럼 포괄 적합도가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임은 다음 인용문에서도 드러난다.각각의 개별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개체는 자신의 적합도에 대비해 그 상황에 해당하는 근연도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역시 고층 벽면에서 박을 재배하는 환경 자체의 한계도 있었다. 커다란 박이 주렁주렁 그림 같이 많이 열리게 할 수는 없었다. 앵두나 살구만 한 작은 박이 몇몇 맺히는 정도에 만족해야 했다. 개수도 많지 않아서 의미 있을 정도로 크게 자랄 만한 것은 둘밖에 되지 않아보였다.“이거 하나는 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지구 그림자에 가려지면서 점점 초승달 모양으로 사라져가요. 그런데 놀랍게도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완전히 가리면 갑자기 붉은 보름달이 나타나지요.태양빛을 받지 못한 달은 검게 보여야 하는데 왜 붉게 보이는 걸까요? 태양빛은 진공상태의 우주공간에서 밀도가 높은 지구 대기로 들어오면서 ...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가오리로봇이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두 개의 광원을 각각 좌우 지느러미에 비췄다(위 그림 참조). 빛을 빠르게 깜박거리면 지느러미의 펄럭임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양쪽 지느러미의속도가 다르면 로봇의 방향을 돌릴 수 있었다. 최고속도는 1초당 3.2mm 였다.과거에도 동물세포로 로봇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 있었던 점이 가장 좋았어요. 저는 문집에 실을 작품을 직접 골랐는데요. 수준급의 그림과 독특한 발상을 보는 게 무척 재미있었어요. 타이핑도 하고, 인터뷰도 하고, 글도 써봤는데 조금 힘들긴 했지만, 영원히 남을 문집을 만드는 데 참여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저도 정말 수학문집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공유하고 있다고 해보자. a와 b가 공통된 조상에서 진화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왼쪽 그림의 계통수 ➊). 그런데 b가 a에는 없고 c에만 있는 유전자200개를 가지고 있다면, b와 c의 뿌리를 연결한 계통수를 그릴 수 있다(계통수 ➋). 어느 쪽이 정답일까. 정답은 ➊도, ➋도 아니다. b와 c 사이의 유전자 20 ... ...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76조에 따라 최고 350해리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것을 법적 대륙붕이라고 한다(아래 그림 참조). 과학에서는 대륙붕을 해저면의 경사가 가팔라지기 시작하는 붕단(shelfedge) 전까지로 본다. 그렇지만 법적 대륙붕은 대륙사면의 끝점(FOS, Foot Of Continental Slope)으로부터 60해리 밖이나, 퇴적층의 두께가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리고 계산 결과가 높은 것들을 골라 자신과 상대가 25~30번 돌을 주고받은 후에 어떤 그림이 펼쳐질지 미리 예상해요. 이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가장 좋은 위치를 찾아내고 그 다음 상대의 수와 자신의 대응까지 예상하지요.그런데 알파고에게도 약점이 있어요. 지금껏 학습하지 않았던 독특한 ... ...
- [펜 드림 프로젝트] 서랍 속 잠자는 펜을 깨우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그렇답니다.저는 이곳에서 기부 받은 펜들로 미술 수업을 했어요. 그런데 한 친구가 그림을 그려 본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하더라고요. 공부에 사용할 노트와 필기구도 부족하기 때문이래요. 게다가 이 지역의 대부분 아이들은 공부를 하다가도 농사 일을 돕거나 집안 일을 하러 가야 했어요.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