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d라이브러리
"
구멍
"(으)로 총 2,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현미경 속 삼라만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눈 같아 보였지만 할머니의 강력한 주장으로제목을‘전복’으로 정했대요. 누에의 숨
구멍
을 350배 확대한 모습이랍니다. ▲원두커피의 향기 / 박다영(안양 신기중)6월 중순 가족과 함께 등산을 갔다가 떨어져 있는 밤꽃 한 송이를 주워 왔대요. 이 꽃을 말려 전자현미경으로 찍으니 꼭 원두의 모양과 ... ...
랄랄라~ 고속도로가 노래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개수로 음 길이를 맞춰서 노래 한 곡을 만들어 냈답니다.”“생각해 보니 피리를불때도
구멍
을 다 막고 불면 낮은 음이 났어요. 또 기타줄은 팽팽하게 했을때 더 높은 음이 났구요. 악기에서 소리의 과학을 찾는 게 이렇게 재밌는 줄 몰랐어요.”어느 새 소리의 과학에 푹~ 빠져 기타로 비행기 노래를 ... ...
변기타고 떠나자! 화장실 익스프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바닥에는 작은
구멍
이 있었고 그 아래에는도랑이 흐르고 있었답니다. 똥을 누면 바닥의
구멍
을 통해 도랑에 퐁당~ 떨어지는 거죠. 아니면 요강에 똥과 오줌을 받아 놨다가 창문 밖으 로 휙~하고 던져 버렸죠. 중세의 도시가 얼마나 더러웠는지 상상이 가죠? 도랑에는 똥이 둥둥둥~, 거리에는 똥과 ... ...
에일리언 입을 가진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동영상을 분석했더니 곰치의 입 안에 또 다른 입이 있었지 뭐예요! 물고기 중에는 목
구멍
쪽에 또 다른 이빨이 있는 것이 있어요. 바다 속에서 도망치는 먹잇감을 잘 붙잡기 위해서죠. 하지만 안쪽에 있는 입이 스프링처럼 툭 튀어나오는 물고기를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리타 교수는 이런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제올라이트를 이용해 첨단 과학소재를 만들 거야. ❻ 금속-유기 다공성 물질의 결정 성장
구멍
이 많은 다공성 물질은 연료가 되는 기체를 저장하거나 약을 만들 때 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할 수 있어. 더 효율적인 다공성 물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실험이야.❼ 한반도 관측 ... ...
침팬지만큼 똑똑한 까마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과학자들은 이 까마귀가 얼마나 똑똑한지 실험했어요. 부리가 닿지 않는 깊은
구멍
에 고기를 넣어둔 뒤 먹이에 닿지 않는 짧은 막대기를 가까이에, 긴 막대기는 멀리 놓아두었어요. 실험에 동원된 까마귀 7마리는 평균 25번의 시도 안에 모두 긴 막대기를 이용해 먹이를 꺼내 먹었어요. 연구진은 이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흐물흐물한 나무 배수백 년 동안 물에 잠겼던 나무는 섬유질이 빠져 나가서 스펀지처럼
구멍
이 뽕뽕 난데다 물로 가득 차 있어. 그대로 물기를 말리면 뒤틀리면서 모양이 파괴돼. 그래서 물기와 소금기를 천천히 없애고 PEG(폴리에틸렌글리콜)란 약품을 꽉꽉 채워 넣지. 이 색깔 없고 끈끈한 약품은 ... ...
돌보기를 황금같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알갱이가 자랄시간이 없어서 현무암처럼 알갱이가 작아. 현무암에 기체가 빠져나가면서
구멍
이 많이 생기면 스코리아라고 부르며 돌하르방을 만들 때 쓰지.둘째, 꾹꾹 눌린 퇴적암암석이 물과 바람에 깎여 만들어진 퇴적물이 호수나 바다 밑에 쌓여서 다져지고 굳으면 퇴적암이 된단다. 퇴적물이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넣어 빨대를 끼우고 눈금을 그린다.❷ 필름통 뚜껑 중간에 송곳으로 빨대가 들어갈
구멍
을 뚫는다.❸ 필름통 안에 물을 반 정도 넣고 빨간 잉크나 물감을 한 두 방울 섞는다.❹ 필름통 뚜껑을 닫고 뚜껑에 빨대 아래쪽을 끼운다.❺ 필름통에서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게 빨대가 끼워진 부분과 필름통 ... ...
나뭇잎에 물방울꽃이 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많으면 어떻게 될까요? 식물은 불필요한 물을 빨리 배출하기 위해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구멍
을 통해 물을 밀어 냅니다. 이 현상을 일액 현상이라고 하지요. 일액 현상은 어둡고 습도가 높아 증산 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는 밤에 일어납니다. 이른 새벽, 식물의 잎 가장자리에 이슬처럼 맺혀 있는 것이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