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
휘장
다리
칸막이
병풍
커튼
BAL
d라이브러리
"
발
"(으)로 총 2,145건 검색되었습니다.
군밤 옆구리 터진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꽁꽁,
발
이 꽁꽁. 입김 불어가며 차가운 손 녹이는 겨울이 왔습니다. 이런 때면 매콤한 떡볶이와 따끈한 오뎅 국물, 그리고 손에 검댕이 묻혀가며 까 먹는 군밤이 생각 나지요. 껍질이 쩍 벌어진 군밤을 보면 겨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요. 그렇게 군밤의 옆구리가 터진 데에는 다이유가 있답니다. ... ...
내가 장난감으로 보이니 - 로보사피엔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인간성의 결합’을 이룬 장난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올해 초 세상에 나온 이후 폭
발
적인 인기를 끌고 있답니다. 특히 올해 최고의 크리스마스 선물로 각광받고 있어 전 세계의 아버지들을 곤란하게 만들고 있기도 하지요.^-^ 우리나라에서도 만나 볼 수 있답니다 ... ...
그림을 훔친 범인은 누구인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0
의 정답담을 넘으면서 보인 모습에서 중요한 것은 손과
발
의 모습이다.
발
은 이미
발
자국에서 본 것과 같았다. 손의 특징은 유난히 굵은 엄지손가락이다. 그리고 정원사가 말한 모습은 범인의 왼쪽 모습이다. 단서4의 정답머리카락의 길이는 길고 짧은 것이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범인의 ... ...
헝가리에서 온 고집쟁이 셰퍼드 샤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0419
굉장히 빠르게 진행되었어요. 그야말로 샤크와 소장님은 명콤비가 된거죠. 범인의
발
자국을 따라가는 트래킹 훈련, 실종자 찾기 훈련, 범행에 사용된 무기 탐색 훈련 등도 훌륭히 해냈습니다.헝가리를 떠나 소장님을 만나서 한 가족이 된지 벌써 2년 반. 이제 샤크는 몰라보게 달라졌답니다. 실종된 ... ...
인간과 고릴라 공통 조상 화석
발
견
과학동아
l
200412
인간과 고릴라 등 대형 유인원의 공통 조상으로 보이는 화석이
발
견됐다.스페인 미구엘 크루사폰트 고생물학연구소의 살바도르 모야솔라 박사팀은 바로셀로나시 부근 공사장에서 130 ... 대형 유인원으로 갈라지는데 지금까지 대형 유인원의 진화에 관련된 화석은 매우 드물게
발
견됐다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12
온나라가 온통 ‘웰빙’ 열풍에 휩싸였던 2004년 한 해가 이제 저물어 간다.올해도 과학기술자의 열정과 노력에 힘입어 수많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왔다.그 중에서 우리 삶에 진 ...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진로보틱스는 아이로비를 메신저나 휴대전화와도 연동하는 기술을 개
발
중이라고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12
유엔은 실무그룹을 조직해 인간복제 선언문을 만든 다음 제6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발
표할 예정이다.유엔은 이 선언문을 통해 “각국 정부 차원에서 배아복제 연구로 복제인간을 만드는 것을 금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할 방침이다. 유엔은 특히 “여성이 생명과학기술의 수단으로 ... ...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12
퍼졌기 때문이다. 1970년대들어 반문화 혁명의 열기가 퍼지면서 치밀한 과학적 논리는 한
발
뒤로 빠지고 오히려 마법과 초자연적인 슈퍼영웅이 득세했다. 지난 20년 동안은 과학에서 마법으로 추가 왔다갔다했다. 만화 애독자거나 슈퍼영웅에 대한 꿈을 간직하고 있는 독자라면 더욱 흥미있게 읽을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12
한다.한편 긴 아킬레스건을 비롯해 다리의 힘줄 배치를 보면 스프링 역할을 해 매번
발
을 뻗을 때마다 에너지의 절반을 비축해 다음 번에 방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인간의 통통한 엉덩이 모양을 만들어주는 큰볼기근은 걸을 때는 가만히 있지만 달릴 때는 수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자들은 ... ...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
견
과학동아
l
200412
엉덩이뼈는 초기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비슷하지만 다리는 현대인처럼 확실히 두
발
로 걸을 수 있는 구조다.연구자들은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란 학명을 붙여줬는데, 이는 ‘플로레스의 사람’이란 뜻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언제 어디에서 온 것일까. 연구자들은 “이들의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