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초
플라워
조화
생화
플라우어
flower
d라이브러리
"
꽃
"(으)로 총 1,559건 검색되었습니다.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05
카드는 컴퓨터 내부의 메인 보드 상에 카드 형태로 꽂혀 있다.메인보드상에 카드를
꽃
을 수 있는 곳을 슬롯이라고 하는데, 이 슬롯에 그래픽 카드가 확실하게 끼워져 있지 않고 약간 들려 있으면 화면에 글자가 나타났다 사라졌다 한다. 본체를 열어서 꽉 눌러주고 나사로 조이면 되는데 초보자라면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04
낳고 자라 줄곧 도시생활만을 영위하는 '도시인' 가운데는 억새와 갈대, 난초와 붓
꽃
등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고 지적한다.이처럼 생태계의 모임은 종류만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그러나 이들이 생태계를 통해 아마추어 과학의 진미를 느끼는 부분은 자연의 일부를 정확히 ...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04
딱딱한 면을 보완하는 소프트웨어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많기 때문이다.PC문화가 활짝
꽃
피고 있는 요즈음은 같은 기능이라도 얼마나 쉽고 편하고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느냐는 것이 소프트웨어 개발의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사용하기 어렵고 불편한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버림을 받기 ... ...
유리잔에 담긴 환상의 산호섬
과학동아
l
199304
작은 유리잔 속에 바다 속 산호섬을 담아 놓을 수 있다면 얼마나 멋질까요? 그게 가능하냐구요? 물론 가능하죠. 그러면 이제부터 저와 함께 아름다운 환상의 산호 ... 한다든지 나무의 뾰족한 곳에 여러가지 색의 수성 사인펜을 미리 칠해 놓으면 색색의 아름다운
꽃
나무를 얻을 수 있겠죠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04
쇠물푸레나무 다릅나무 말채나무 층층나무 산딸나무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함박
꽃
나무 아그배나무 노각나무 비목나무 등은 주요 구성 수종들이다.그 가운데 졸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우리를 대표하는 식물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이 땅에는 그런 나무들이 어우러진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
꽃
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03
그 피로 인하여 모든
꽃
이 혈색으로 변하였다는 얘기도 전해진다.개량된 양귀비바람
꽃
은 원예가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데 흔히 아네모네 또는 포피 아네모네(poppy anemone)란 이름으로 통하고 있다 ... ...
앵초 큰앵초 깽깽이풀
과학동아
l
199303
1~2개가 잎보다 먼저 나와서 끝에
꽃
이 1개씩 달린다. 4개의
꽃
받침은 피침형이고 6~8개의
꽃
잎은 도란형(倒卵形)이며 옆으로 퍼지는데, 약용과 관상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특히 생약재로 쓰는 조황련(朝黃蓮)은 깽깽이풀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한방에서는 가을에 땅속 줄기를 채취, 그늘에서 말려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03
역할을 하는 모습 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된다. 육식버마재비는 자신을 숨기기 위해
꽃
잎과 같은 모양으로 위장하기도 한다.어떻게 보면 먹고 먹히는 관계만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지구생태계는 바로 이러한 관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종들이 공생하고 있다는 것을 '초록과의 계약'은 강조하고 있다.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02
된다.아마 누구나 도서관에 들어간 경험이 있을 것이다. 서가에는 매우 다양한 책들이
꽃
혀 있다. 두꺼운 법률책, 작은책, 그림책 등 온갖 다른 형태의 책이 있으며 그 내용 역시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그 다양한 겉모양과는 달리 모든 책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어떤 책이든 제1장, 제2장으로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02
사진으로 기록해 두고 있다."금곡릉 바로 옆 백봉산 기슭은 희귀식물 만주바람
꽃
의 유일한 생육지인데, 바로 코앞에서 스키장공사가 벌어지고 있어 안타깝습니다. 또 이의 자생지인 축령산 기슭은 산림욕 공사로 인해 흔적조차 사라져 버렸습니다. 이처럼 날로 파괴돼 가는 자연을 보고 식물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