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스페셜
"
양
"(으)로 총 1,6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원전 항구에 사는 저서어류(갈색 x)는 꽤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여전히 있다. - 해
양
과학연간리뷰 제공 바닷물과 수산물의 방사능을 조사한 수많은 데이터를 정리한 그래프를 보면 (세슘137과 세슘134를 합친 값이다. 세슘134는 반감기가 2년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세슘137에 상대적인 비율이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문제는 생산력이다. 거미를 마취해 끊임없이 거미줄을 뽑아낸다고 해도 실제 필요한
양
만큼의 거미줄을 얻긴 힘들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대장균, 박테리아, 효모, 식물, 심지어 염소 등을 유전적으로 조작해 거미줄을 구성하는 단백질을 합성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의 성과는 어느덧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않는다. 이들은 장기 이식에 적합한 4개월 반까지 건강하게 성장했다. 이제네시스 루한
양
박사는 “가장 큰 숙제는 풀렸다. 하지만 이종 장기 이식을 실제로 진행하기까진 인간 면역계를 자극하는 돼지 유전자를 제거(녹아웃)하는 등 호환성을 높이는 일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소개됐다. 또, 초저온 상태에 이른 원자를 움직이지 않게 잡아두기 위한 ‘광학 격자’와
양
자가스현미경은 초저온 상태 원자의 위상을 관찰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가져왔다는 평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은하에서 마지막으로 관측된 초신성 폭발이다. 이 초신성의 최대 밝기는 -2.5 등급으로 태
양
과 달 다음으로 밝았고 3주 넘게 낮에도 보였다고 한다. 우리 은하 정도 크기라면 대략 50년에 한 번 꼴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케플러 초신성 이후 400년이 넘도록 조용한 건 이례적인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분석 결과를 내놨다. 라이트 교수는 “식물 잎의 크기는 1㎟에서 1㎡에 이르기까지 다
양
하며 전 세계 10만 여종에서 모두 다르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 식물 모델을 제공한 것으로 식물 대사의 주요 요소를 새롭게 설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스페인 칸타브리아생물의학생명공학연구소 페데리카 베르토치니 박사는 취미로
양
봉을 하는데 하루는 꿀벌부채명나방(학명 Galleria mellonella)의 애벌레가 벌집을 갉아먹는 장면을 목격한다. 이 나방의 영어 이름 ‘왁스 모스(wax moth)’에서 짐작하듯 애벌레는 밀랍(beeswax)을 먹고 자란다. 베르토치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대사도 예외는 아니라는 말이다. 장내미생물 입장에서도 오늘날 인류가 섭취하는 다
양
한 생체이물 가운데 다수는 낯선 분자들이다. 실제 우리 몸 안에서는 소화에서처럼 생체이물을 대사하는데도 인체의 시스템과 장내미생물의 시스템이 이중으로 작동하고 있다. 두 시스템의 작용이 서로를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최종적으로 부도체의 특성을 갖던 폴리레더린은 반도체의 성질을 갖는 나노선이 됐다.
양
교수는 “연구진이 재료로 사용한 레더린의 구조는 DNA의 이중 나선 구조와 같은 생명체의 분자구조에서 영감을 얻었다”며 “화학적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는 이 소재를 이용해 향후 청각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 - 사이언스 제공 예를 들어 소면처럼 생긴 파스타인 카펠리니를 줄 경우 정상생쥐는
양
발바닥 사이에 엉거주춤하게 잡고 갉아먹는 반면 변이 생쥐는 사람처럼 발가락으로 카펠리니를 쥐고 먹는다. 그 결과 더 쉽고 빠르게 카펠리니를 먹을 수 있다. 몸에 붙어 있는 테이프를 떼어내는 실험에서도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