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
nine
d라이브러리
"
9
"(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해안에서 흔히 발견되는 종이 아니며 부검 결과 위장에선 남해안에 분포하는 살오징어
9
마리가 나왔다. 5살 암컷으로 난소 조직에 성성숙의 결과인 난포와 백체를 모두 지니고 있었다. doi: 10.1136/vetreccr-201
9
-000860김 연구원은 “큰머리돌고래는 일반적으로 7살이 넘어야 성성숙을 한다고 알려져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멧돼지 사령관의 노하우는 모두 맞지만 그런 방법으로 찾아서 어느 세월에 지뢰를 다 찾는단 말이람. 그래서 나는 멧돼지 사령관이 말한 ... 또 1칸을 고르고, 남은 7칸 중에 또 한 칸을 고르는 식으로 다 열어보는 거지. 그럼 최대
9
!(=
9
×8×7×6×5×4×3×1)번 따져봐야 지뢰의 위치를 다 알 수 있지 ... ...
[수학뉴스] TV 많이 보는 아이...수학, 독해 능력 떨어진다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호주 멜버른의 머독어린이연구소는 과도한 TV 시청이 어린이의 수학과 읽기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리사 먼디 연구원팀은 호주 교육과정에서 ... 수 있는 결과”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온라인학술지’
9
월 2일자에 실렸습니다.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탄생한다는 것을 보였다. 방법은 간단하다. 오른쪽과 같이 피아노 건반에 차례대로 0부터
9
까지 번호를 매긴 뒤 피보나치 수열을 따라 순서대로 건반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한 자릿수를 넘어가는 피보나치 수는 각 자릿수의 숫자를 그대로 친다. 예를 들어 55를 칠 때는 0~
9
사이에서 5번 자리를 두 번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믿었죠. 이 개념은 후대까지 전해지면서 유명한 수학자들이 친화수를 연구했습니다.
9
세기경 아라비아의 수학자였던 사빗 이븐 쿠라는 친화수를 찾는 식을 만들었습니다. 이 식은 17세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유명한 프랑스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와 르네 데카르트가 재발견해 친화수를 ... ...
[이달의 과학사] 사상 최대의 지진, 칠레를 휩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장형이라는 사람이 만들었어요. 하지만 지진의 세기까지 정밀하게 관측하는 지진계는 1
9
세기가 되어서야 만들어져요. 1876년, 일본에 초청받은 영국의 지질학자 ‘존 밀른’은 일본의 지진을 연구하기 위해 1년 동안 동료 학자들과 함께 현대적인 지진계를 만들었어요.지진계는 크게 무거운 추가 달린 ... ...
[한페이지 뉴스] “해바라기꽃으로 Go!” 꿀벌도 훈련된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작물의 생산량이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9
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6/j.cub.2020.08.018 연구팀은 해바라기꽃 냄새를 내는 합성 혼합물을 만들어 꿀벌에게 먹이와 함께 제공한 뒤 꿀벌의 춤 패턴을 분석했다. 꿀벌은 일명 ‘와글 댄스(waggle dance)’라고 불리는 ... ...
코로나1
9
Q&A 리포트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 보통난이도 | 코로나1
9
Q&A ‘윈터 이즈 커밍(Winter is coming)’ 미국 드라마 ‘왕좌의 게임’의 명대사처럼 두려운 겨울이 오고 있다. 춥고 건조한 환경은 ... 것”이라며 “인플루엔자 백신을 적극적으로 접종해 트윈데믹을 막는 것이 코로나1
9
의 확산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 ...
[DISCUSSION] 과학동아 독자에게 물었다, 클라우드 공룡기업 규제 필요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분야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과학동아는 여기에 대한 독자들의 생각을 들어보기 위해
9
월 11~17일 독자 커뮤니티 사이트 사이언스 보드(www.scienceboard.co.kr)의 ‘토론의 숲’ 게시판을 이용해 7명의 멤버들과 작은 토론을 진행했다. 찬성과 반대측 대표 주장을 지면에 소개 한다. ※ 편집자 주 지면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진해지기 시작합니다. 빗물을 밀어내는 효과는 미미했습니다.빗방울의 낙하 속도는 초속
9
~13m라고 합니다. 이 빗방울을 튕겨내려면 그 이상의 속도로 공기를 분사해야 하죠. 기상 예보에서 말하는 강풍주의보의 기준이 초속 14m 이상의 바람이 불 때이니 실로 엄청나게 센 바람을 분사해야 한다는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