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휴
협동
협조
연합
합작
원조
공동 작업
d라이브러리
"
협력
"(으)로 총 1,439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시 주목받는 RISC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중심으로 RISC컴퓨터에 관한 연구가 진행돼 왔으며, 산업계에서는 최근 외국 업체와
협력
하여 RISC 프로세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RISC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있어서 컴파일러의 연구 개발은 매우 중요하며 앞으로도 많은 개발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RISC 시스템은 명령어가 단순하기 때문에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연구해야 하며 이러한 연구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인지공학(cognitive engineering)과도
협력
해야 한다.인간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는 디스플레이(display)도 급격히 기술이 발전돼 액정이나 플라즈마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HUD(Head Up Display 시야에 표시장치가 중첩돼 보이는 장치), 입체감 ...
컴퓨터기업의 대명사 IBM의 신화는 사라지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크다. 지난 6월 에이커즈회장의 방한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한다.메인프레임 외에는 국내
협력
업체들을 통해 사업을 펼쳐 나가고 있는 한국IBM은 현재 30여개사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삼성데이타시스템(85년) 키스크(89년) 신도컴퓨터(89년) 등의 합작사를 설립, 정보통신과 퍼스컴사업을 추진하는 등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세계를 제패하기 힘들것입니다. 세계 경제가 블럭화 되어 감에 따라 다른 나라와
협력
하지 않으면 소외될 수 밖에 없습니다.과학기술교류는 세계적인 추세입니다. 더구나 미일편중에서 다변화전략을 펼쳐가야 하는 우리로서는 '도약이나 파멸이냐'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쉽게 ... ...
PARTⅡ 무엇이 정보사회를 가로막는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OECD)는 TDF선언(1985)을 통해 데이터의 국제간 자유 유통을 촉진하고 이를 위해 가맹국이
협력
할 것을 천명했다.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정보력이 빈약한 프랑스 등 일부 OECD 국가들은 처음에는 이 선언의 채택을 반대하다가 나중에 동의했다. 이들 나라가 태도를 바꾸게 된 내면적인 이유는 1992년에 ... ...
세계최대 초전도 가속기 건설에 한국 참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미국내 반론에 부딪치자 가속기 옹호자들은 초전도가속기를 국제
협력
을 통해 건설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일본 한국 등 8~9개 국가가 건설비용의 3분의 1 정도를 감당한다는 것. 이 제의에 일본은 미적지근한 태도를 보인 반면 한국측의 반응은 미국관리들도 놀랄만큼 신속했다 ... ...
기술장벽 뛰어넘는 호기로 삼아야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세계 최고의 첨단기술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고 들떠있기 보다는 대등한 관계에서
협력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차분히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행정을 개선하여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첨단과학기술의 선진국인 서방과의
협력
확대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퍼스널컴퓨터에 높은 관심60년대 초에 컴퓨터가 민간기술영역으로 전환되자 소련의 중앙계획당국은 컴퓨터기술에 냉담해졌다. 컴퓨터가 일반의 손으로 들어가게 되면 ... ...
「남북민간과학기술 교류협의회」출범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및 지식교환 △농수산물가공기술
협력
△화학 경공업 건설분야기술
협력
△기계 전자 유전공학 등 첨단기술이전 등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이와함께 민간차원의 남북과학기술교류사업을 사전에 검토 조정함으로써 창구역할을 담당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해간다는 방침이다.이 협의회의 ... ...
과학기술 해외교류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일차적으로는 정상 외교를 통해 쌍무관계를 맺고 과학장관 실무회담을 곁들여 과학기술
협력
협정체결과 국제공동연구 참여기회확대를 추진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학연이 전면에 나서는 순서가 될 것이고 공산권과는 이와 반대로 추진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것이다.한편 세부적인 기술분야에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