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오스트롬 교수는 이들이 모두 온혈동물이었으리라는 매우 그럴 듯한 학설을 발표했다.
필자
는 아직 누가 이 학설에 이의를 달았다는 말을 듣지 못하고 있다. 온혈이 아니고는 지속적으로 민첩하게 움질일 수 없고 또 떼를 지어서 다니는 고등동물치고 온혈 아닌 것이 없다고 오스트롬 교수는 말한다.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오래 살 수 있다.양서류의 역사와 우주 속의 올챙이의 경이로움을 살펴 보는 동안
필자
는 시간이 흐르는 모래속에 발자국을 남긴 이첩기시절의 양서류를 생각하게 된다. 이 모래는 애리조나주의 사암이 됐는데 이 바위를 연구한 브랜드와 투탕은 이첩기의 자국이 현대 영원들이 물속 모래에 남기는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카프라의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을 통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
는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몇 편의 논문을 오래 전에 발표한 바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그 논문들 가운데 몇 군데를 추려서 지면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서술하고자 한다.세계적으로 ... ...
6 오랜 전통과 국가적 지원으로 눈부신 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최근 덴마크의 통합부결에서 보여지듯이 그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은 것 같다.
필자
는 프랑스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그후에도 프랑스에서 몇차례 연구할 기회가 있어서 프랑스를 중심으로 생물 의학 분야를 살펴보고 영국 독일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하기로 한다.프랑스 연구개발 투자총액은 ... ...
더 많은 복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돕는 방법을 찾아내기도 했다. 바이러스 때문에 고통당하는 하드디스크 조차도 없었던
필자
의 첫 컴퓨터 사용시절에 비해 엄청난 변화가 있었던 셈이다.자연적이거나 합성된 것이거나(화학적이건 컴퓨터에서건) 복제라는 개념의 변화는 특히 유기화학이나 생화학과목을 택한지 꽤나 오래된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있는 것처럼 여겨지기도 한다.제주도의 협재굴에서 3km정도 떨어진 곳에 소천굴이 있다.
필자
는 어느 겨울 눈보라가 심한 날 이 굴을 찾아간 일이 있다. 밖은 추워서 모든 식물이 떨고 있었는데 굴안은 김이 자욱한 온실이었다. 이 굴안에 들어섰더니 돌토끼고사리 석위 및 도깨비고비가 문을 지키고,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고등어를 보고서 어머니의 따뜻한 사랑을 느낀다는 소박한 이야기인데, 이 노래를
필자
는 매우 좋아한다. 그런데 느닷없이 냉장고와 고등어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우리가 당연하다고 느끼듯이 고등어는 냉장고에 둔다. 만일 고등어를 냉장고에 두지 않았더라면 노래에서처럼 맛있는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지적되고 있다.CERN은 현재 LEP 실험외에도 다양하고 풍부한 실험을 제공하고 있는데,
필자
가 지난 2년동안 일해온 입자(particle)와 반입자(anti-particle)사이의 대칭성을 연구하는 실험도 그중의 하나다. 그동안 몇몇 한국인이론 및 실험 물리학자들이 이곳에서 연구하였으며 현재 연구소측은 한국이 더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어떻게 그것이 대폭발이론의 중심구조로 인식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마지막으로
필자
는 92년 현재 우주론의 큰 흐름을 개략적으로 소개하면서 이 글을 마무리하려 한다. 현대 우주론의 가장 큰 흐름은 초기 우주에서(인플레이션을 통해) 발생된 물질의 미세한 섭동이 지난 1백~2백억년간 어떻게 ... ...
블랙 홀 탱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앞으로도 이 칼럼에선 간간히 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정보나 이론을 논하게 될 것이다.
필자
와 블랙홀을 논하는 탱고를 함께 출 사람은? The tango is a graceful Argentinian ballroom dance made popular by the likes of Rudolph Valentino. My favorite version(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