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비교해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를 찾아낸다. 최근에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 단위로 특정 질병을 가진 환자들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센터장은 “현재 KISTI에서 보유한 유전체 데이터만 800TB로, 올해 저장 용량을 2배에 달하는 1.6PB(페타바이트)로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인기가 높은 곳에 쏠려가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뒤쳐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특정 기획과제를 주거나, 말뿐인 세부계획을 짜게 하는 것 등은 과학자들의 생각을 가두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민 교수는 “유능한 과학자를 자유롭게 놔두면 새로운 분야를 스스로 개척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 청색은 492∼455㎚, 남색은 455∼424㎚, 보라색은 424∼397㎚랍니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서 특정한 파장의 빛을 이용해 식물이 광합성을 잘 하게 만들기도 해요.*기공 : 잎의 뒷면에 있는 공기구멍.예를 들어 계절에 상관없이 식물을 기를 수 있는 식물공장에서는 650~680㎚ 파장의 빨간색 LED전구와 430~45 ... ...
- [수학뉴스] 당신의 메시지가 전염병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수학적인 상관관계를 찾은 덕분입니다.연구팀은 포르투갈의 휴대전화 사용자 130만 명, 불특정 유럽인600만 명 등 다수의 휴대전화 사용 내역을 수집했습니다. 이 휴대전화 사용 내역은 전화와 메시지를 언제 어디에서, 어느 곳에 있는 사람과 나눈 것인지 알려줍니다.이들은 연락을 하고 있는 두 사람 ... ...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낼 수 있지만,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 수 있어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해요.”삼각함수는 특정한 주기에 따라 모양이 반복되고, 원과 타원과 같은 곡선으로 이뤄진 도형을 그릴 수 있어 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기 좋다. 그렇다고 늘 삼각함수만을 이용하는 건 아니다.뾰족하고 날카로운 그림을 만들어 ...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파괴하는 백신의 원리를 암 치료에 도입한 것으로, 면역세포가 특정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해 공격하게 만드는 게 핵심이다.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시키려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수지상세포에 항원 RNA를 잘 붙여야 한다. 연구팀은 RNA를 지질로 감싼 나노입자를 만들고,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하플로그룹(A, C, D)은 다른 그룹보다 에너지(ATP)를 더 잘 만든다. 추위에 유리한 특정 하플로그룹이 자연선택됐을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이런 단점 때문에 최근에는 상동염색체와 Y염색체로 유전자 해독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세월이 많이 흐른 오래된 DNA는 ...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같은 정리가 증명돼 있습니다.[램지 이론★ 꼭짓점의 크기가 충분히 큰 그래프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그래프가 반드시 있다는 이론. 조합 기하★ 유한 개의 점과 선 등으로 이뤄진 도형에서 나타나는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각 n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최솟값을 주는 함수 N(n)이 ... ...
- [News & Issue] 우주로 쏘아 올린 ‘피사의 사탑’ ‘등가원리’를 검증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정돼야 할 것”이라며 “그때가 되면 일반상대성이론도 만유인력 법칙처럼 특정 범위에서만 들어맞는 ‘근사이론’이 될 것”이라고 했다.하지만 등가원리 위반이 발견된다 하더라도 당장 새로운 이론이 떠오르진 않을 것이다. 권오경 박사는 “등가원리가 위반될 수 있는 이유야 무한히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753년 오일러는 허수(i)를 도입해 n=3, n=4일 때의 풀이를 증명했다. 그 뒤로 n이 특정 정수일 때 이를 만족하는 정수해가 없다는 사실이 차례로 밝혀졌다. 하지만 모든 n에 대해 증명할 방법은 결코 밝혀지지 않았다.1980년대, 수학자들은 페르마의 정리를 직접 공략하는 대신 우회로를 찾기 시작했다.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