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상현실
버추얼리얼리티
사이버공간
가상세계
가상환경
d라이브러리
"
인공환경
"(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로봇이 인간처럼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생각하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면 어떨까.인류의 생활 수준을 껑충 뛰어오르게 만들 대사건임에 틀림없다.로봇은 인간의 추론능력을 어디까지 따라왔을까.어떤 성에 작은 연못이 있었다. 그 연못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물고기들이 살고 있었다.어느날 성안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누구나 한번쯤 우주에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특히 여름날 밤하늘에서 쏟아지는 별들을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말할 것도 없다. 별들이 수천억개씩 모여있는 집단을 ‘은하’라고 부른다. 은하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에는 수천억개의 별 외에도 가스와 먼지 같은 성간물 ... ...
우리별3호, 강원도 산불지역 촬영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우리나라에서도 인공위성을 이용해 지구환경변화를 감시하고 있다.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운영하는 우리별3호는 지난 4월 대규모 산불피해를 입은 강릉 사천면 일대를 촬영했는데,이 사진자료를 통해 재해면적이 1천5백ha에 이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우리별3호는 기존의 우리별 1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50여년 전 미국에서 사라졌던 회색늑대가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부활하고 있다.1995년부터 이곳에 풀어준 37마리의 늑대가 이제는 1백70여마리로 늘어난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에버랜드동물원이 중심이 돼 1994년부터 6마리의 산양을 월악산에 풀어줬다.과연 월악산 산양도 옐로스톤의 회색늑대처 ... ...
멸종위기 식물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지구상에 생명체가 출현한 후 수십억년의 세월 동안 식물들은 수많은 종류의 위협에 처해 왔다. 하지만 식물종의 감소가 지구차원에서 그리 큰 문제가 된 적은 별로 없었다.그런데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인구 증가와 공업화로 많은 식물종들이 위협을 받기 시작했다. 1996년 국제자연보존연맹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생명의 설계도 DNA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일이 활발하다.이를 바탕으로 2년 안에 미생물 수준의 생명체를 만들 수 있다는 전망이 결코 가볍게 여겨지지 않는다.인공DNA 합성기술은 과연 어디까지 갈 것인가.지난 1월 23일 영국의 ‘선데이타임스’는 앞으로 2년 안에 생명체가 인간의 손에 의해 탄생 ... ...
인터넷 신화 일군 야후!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술로 세계시장을 장악한 벤처기업이 많다.그 중에서도 인터넷 검색서비스를 하는 야휴는 벤처기업가라면 한번쯤 그려보는 꿈의 신화다.야휴는 어떻게 세계적인 기업이 됐으며,그 성공요인은 무엇일까.새 천년은 바야흐로 벤처기업의 시대다. 패기만만한 젊은이들은 더 이상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한번 망가진 뇌는 결코 재생되는 일이 없다는게 학계의 정설이었다.하지만 이 학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실험결과들이 속출하고 있다.생쥐와 원숭이는 물론 사람의 경우에도 뇌세포가 새롭게 생성된다는 것이다.‘나비처럼 날아 벌처럼 쏜다.’ 한때 세계 헤비급 복싱의 왕으로 군림하며 ‘건강과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의 환경과 에너지 문제는 20세기에 남겨진 가장 큰 숙제 중 하나인 만큼 사람들의 관심이 높다. 동시에 지구 밖의 행성 개발에 대한 기대도 크다. 과연 21세기의 언제쯤에 화성에 갈 수 있을까. 달에는 언제 기지를 만들 수 있을까. 내가 타고 다닐 수 있는 전기자동차는 언제 실용화될까.● 2007년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의 북극해 탐사가 7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70여일간에 걸쳐 중국, 일본, 러시아, 타이완 등의 학자들과 공동으로 추진됐다. 이번 탐사에는 플랑크톤 등 미세 조쥬를 연구할 목적으로 남극 세종기지에서 극지경험을 풍부하게 쌓은 한국해양연구소의 강성호 박사와 송태윤 연구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