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선이라면 모두 곡선이다. 삐쭉삐쭉 못 생겨 보이는 건물의 윤곽선도 곡선이다.원이나 타원, 사각형, 삼각형 같은 도형도 곡선이다. 이들은 그릴 때 펜의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곡선으로 ‘닫힌 곡선’이라고 한다. 즉 주위에서 볼 수 있는 선은 모두 곡선이다![이 도로를 보면 누구나 유려한 곡선을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앞으로 더 기대된다. 홀데인 교수는?홀데인 교수의 제자인 박예제 KAIST 물리학과 연구원은 홀데인 교수를 굉장히 열정적인 교수로 회상했다. 직접 배워서 물리 모델을 컴퓨터로 코딩할 정도였다. 회의를 시작하면 기본 3시간은 진행하는데, 한번은 7시간이 넘도록 혼자서 설명을 했다고 한다. 긴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놓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 ...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많이 묻힌 곳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9년까지 독점광구 1만km2 중에 자원 비중이 높은 알토란 땅 2500km2를 선정해 ISA에 개발권을 신청할 계획이다.2016년부터 건조되는 선박은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1kWh 당 1.96~3.4g으로 5년 전보다 80% 가량 줄이도록 돼 있다. 이사부호는 선박에서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런 식으로 현실이 될 줄이야.내 추측은 이렇다. 권력 핵심부에 있는 누군가가 K 의원의 무서운 상승세를 수상히 여기고 그 주변을 조사했다. 그리고 센서스 코무니스에 대해 알게 되고, 센서스 코무니스와 J 그룹의 관계를 알게 되고, J 그룹을 압박해서 센서스 코무니스 대표를 손에 넣은 것이다.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라마누잔의 공동 연구결과인 ‘하디-라마누잔 점근 공식’은 물리학에서 닐스 보어가 원자핵의 양자 분배 함수를 찾는 데 쓰였다.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는 보스-아이슈타인 계의 열역학적 함수를 유도하는 데도 쓰였다.이런 라마누잔에 대해 페이스북의 설립자 마크 저커버그는 “라마누잔은 한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속시킨다. 시속 수십만 km로 뿜어져 나가는 제논 이온의 추진력으로 우주선이 움직이는 원리다. SEP 엔진의 가장 큰 장점은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연료를 10분의 1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하지만 수백 t의 로켓을 움직이기에는 추진력이 너무 작다. 때문에 유인 탐사 우주선에는 사용하지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siRNA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고분자물질을 쓰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하다. 안 연구원은 “서로 다른 항암 효과를 주는 두 종류 이상의 siRNA를 함께 전달할 수 있고, 기존 항암 화학치료제에 대한 거부반응(항암 내성)을 완화시켜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팀이 항암 내성을 일으키는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사람들이 라쿤을 함부로 방생했고, 야생화된 라쿤은 작물을 헤집고 역사적인 목조 사원을 갉아 먹었다. 2012년 스페인에서는 털을 얻을 목적으로 수입한 라쿤이 야생화되면서 광견병 등 전염병을 퍼뜨리기도 했다 ... ...
- [과학뉴스] 제임스 웹, 우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거울의 전체 지름은 6.5m로, 허블 우주망원경의 거울보다 2.5배 정도 커서 허블 우주망원경에 비해 성능이 100배 더 우수해요. 그래서 무려 135억 년 전 우주의 흔적까지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답니다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