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먹을 수밖에 없다. 평생 먹어야 할 수산물이기 때문에 매번 방사능에 오염됐는지 신경을 쓰기보다는 그냥 안심하고 먹겠다는 것이다.하지만 일본인들도 마음 속으로는 걱정하고 있다. 아사히신문이 9월 7, 8일 전국의 20세 남녀 1925명에게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가 어느 ...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현상이다. 실제로는 있지도 않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기 때문에 외모에 지나치게 신경을 쓰거나 자의식이 강해진다.개인적 우화는 자기 자신이 특별하다는 의식이다. 자신이 겪은 일이나 느낀 감정은 특별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은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중심에 놓는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있다. 이 때문에 구글을 대표로 인공신경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더 나아가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인공생명체를 만드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한편, 최근에 인공생명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건 생화학 분야다. 지난 2010년 5월 미국의 생명공학자 크레이그 벤터는 인공 DNA를 ... ...
- [수학뉴스] 전신마비 환자의 목소리가 된 곱셈!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심지어 눈을 깜빡이는 것조차 쉽지 않은 사람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최근 독일 필립스대 신경물리학과 죠셉 스톨 교수는 ‘생각’만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해 생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특이한 것은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것. 사람은 머릿속으로 26×13과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과학자들은 항해를 멈추지 않을 것이다. 율리히연구센터, istockphoto, 맥길대 몬트리올신경학연구소(MNI) 뇌영상센터, 스티브 유르베슨▼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후의 항해, 브레인 맵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Part 3. ... ...
- 초파리 ‘입맛’ 까다롭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온도를 찾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폴 개리티 미국 브랜다이스대 교수팀은 초파리의 신경세포에서 새로운 분자온도센서를 발견했다고 ‘네이처’ 8일자에 발표했다.이 센서는 맛과 냄새를 느끼는 단백질 그룹에 속해 있었다. 모기나 체체파리(흡혈파리)에도 존재하는데 지금까지 이산화탄소를 ... ...
- 좌로 돌리고 우로 돌리고 그러면 시력이 좋아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집에 가면 또 책상에 앉아서 모니터를 쳐다보다 보면 가끔 눈이 침침해지거든요.신경이 쓰이니까 일을 하다가도 눈을 쉬게 해주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눈을 감고 있거나 잠시 창 밖의 먼 산을 바라보고 있는 식이지요. 물론 그런다고 눈이 좋아지리라는 생각은 안 합니다. 그저 나빠지는 걸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백질지도를 이용해 공들여 찾은 것이다. 여러 명의 연구자가 몇 달 동안 데이터를 분석해 신경섬유 한가닥 한가닥을 찾아냈다. 조 소장은 “지금 이 순간에도 다른 섬유 다발을 찾는 중”이라고 귀띔했다. 김영보 부소장은 “계속 놀라운 연구가 나올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이 ‘뇌지도 전쟁’을 ... ...
- 젊은이 부럽지 않은 꽃할배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비행장치를 조종하고, 사고를 일으키는 비율을 조사해 신‘ 경학지’에 발표했다. 반사신경과 체력은 젊은 층이 더 뛰어났지만, 다른 비행기와 충돌을 피하는 능력에서는 나이든 조종사가 더 뛰어났다. 다른 비행기의 행동패턴을 예측하는 통찰력 덕분이다.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동물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앤드류 슈왈츠 피츠버그대 교수팀이 얀 소이어만이라는 여성 사지마비 환자의 운동피질 신경 신호를 해독해, 도노휴 교수 연구팀보다 두가지의 움직임이 더 가능한 7-자유도의 로봇팔을 제어하기도 했다. 커피를 집어 올리고, 옆 사람과 하이파이브를 하거나 초콜릿을 집어 먹는 동작을 선보였는데,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