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더욱 진짜 같은 가상현실이 온다! 혼합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헬멧 스크린에 영상통화 화면을 띄워 주지요. 이때 아이언맨은 자비스에게 말을 하거나 손을 움직여 통화 화면을 조종할 수 있답니다. 이제 영화 속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아이언맨처럼 실시간으로 가상현실과 소통할 수 있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이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있어. 바로 ‘홀로렌즈’지. 홀로렌즈를 쓰면 가상현실이 더욱 진짜처럼 느껴진단다. 맨 손으로 마인크래프트를 짓는다?!“세상을 만들어 줘(Create World)!”지난 2015년,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임쇼 ‘E3’에서 윈도우 MR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홀로렌즈를 선보였어요. 고글처럼 생긴 홀로렌즈를 낀 ... ...
- [과학뉴스] ‘영수증 환경호르몬’, 먹을 때보다 만질 때 더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먼저 실험 참가자들은 비스페놀A가 묻은 물질을 손으로 5분 동안 만지고 2시간 뒤에 손을 씻었어요. 그리고 1주일 뒤엔 비스페놀A 성분이 든 과자를 먹었지요. 실험을 하는 동안 소변과 혈액 속 비스페놀A 성분을 주기적으로 분석해 봤어요. 그 결과, 먹을 경우 평균적으로 5시간째에 농도가 가장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삼국시대에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널리 사용된 철검이랍니다. 손잡이 끝에 둥근 고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지요. 환두대도의 장식은 당시에 신분과 지위를 상징하는 역할을 했어요. 특히 용, 봉황, 주작 등의 모양을 새긴 것은 왕족과 같은 고귀한 신분의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었지요. ... ...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구사랑탐사대에서는 올해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를 새롭게 시작했어요. ‘야생동물의 서식지 문제를 도와 주자!’라는 주제로 10개 팀이 도전에 나섰지요. 지난 9월 9일, 메이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대원들이 두 달 동안 고민한 중간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어요. 성공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무게중심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섭섭박사님이 곧게 세운 펜에서 손을 뗀 순간, 교실엔 정적이 흘렀어요. 하지만 펜은 한쪽으로 서서히 기울더니 이내 쓰러지고 말았지요. 그때 펜 세우기 대결의 승자가 풀이 죽은 섭섭박사님에게 귓속말로 놀리듯 이렇게 말했답니다.“무게중심부터 공부해 오시죠~. 낄낄~.”도대체 무게중심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동굴에 거꾸로 매달려서 생활할 수 있는 이유는 독특한 발 모양 덕분이에요. 박쥐의 손과 발은 갈고리 모양으로 생겼어요. 날카로운 갈고리를 걸면 어디든 거꾸로 매달릴 수 있지요. 또 발에 근육이 없고 힘줄만 있다는 점도 거꾸로 매달리기에 유리해요. 근력으로 버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들고 ‘고기가 여기에 있다’라고 말하는 모습에서 유래됐답니다. 덧붙여서 달(月)을 손으로 가리키며 ‘달이 떠 있다’라고 말하는 모습이라는 해석도 있어요. 사람과 곤충은 전혀 다르게 생겼지만 중요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어요. 몸의 대부분이 탄소, 수소, 산소, 질소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껴 있어서 물에 잘 녹아요. 차전자피 가루가 물을 잔뜩 흡수할 때 기포가 생기는데, 손으로 살살 만져 이 기포들을 터트려 주면 방귀 소리와 비슷한 소리가 난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뜻을 갖고 있지요. 글자의 앞부분에 있는 ‘일(日)’은 해를, 뒷부분의 ‘원(爰)’은 두 손으로 줄을 끌어당기는 모양을 본떠 만들어진 한자예요. 따라서 두 글자가 합쳐진 ‘난(暖)’은 ‘태양을 가까이 끌어당기다’는 뜻에서 ‘따뜻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됐지요. 이런 의미는 태양 에너지를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