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d라이브러리
"
분비
"(으)로 총 1,546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식이요법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포도당을 세포 내로 흡수하도록 돕는 호르몬.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란 몸에서 인슐린
분비
가 안돼 이를 별도로 공급받아야 하는 환자를 말한다. 이 환자가 극저열량식을 섭취하면 포도당이 더욱 줄어들어 위험하다. 인슐린 비의존형은 철저한 관리를 전제로 한 극저열량식이 효과를 볼 수 있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있는 것이다. 이때 염증을 만드는 물질인 싸이토카인(cytokine)이 면역세포에서 대량으로
분비
된다. 그 결과 온몸의 모세혈관에서 염증이 발생하는 것이다.두뇌가 이 상황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박태홍원장은 "기억력 상실 환자의 뇌를 자기공명장치나 스펙스캔 등을 이용해 촬영하면 해마 부위를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하면 황체는 파괴되지 않고 유지되며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높아져 LH, FSH의
분비
가 억제된다.피임제란 바로 프로게스틴의 농도를 높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즉 임신된 것처럼 시상하부를 오인시켜 LH, FSH가 방출되지 않게 해 결국 난포의 성숙, 배란이 차단되도록 한다. 또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것을 구분하는 지혜다.포획 선모에서는 마치 맑은 이슬방울처럼 보이는 끈끈이액이
분비
된다. 곤충이 물을 마시러 습지에 왔다가 이슬방울로 착각해 날라 않는 순간 곤충의 다리와 날개는 끈끈이액에 달라붙어 꼼짝 못한다. 달아나려고 발버둥칠수록 선모는 곤충을 향해 구부러지고 마침내 잎도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상황에 처했을 때 두뇌는 신체가 저항하거나 달아날 준비를 하도록 스트레스 호르몬을
분비
한다. 이 화학적 자극 때문에 소화관 내 감각 신경은 위의 긴장감을 일으킨다. 만일 상황이 급박해지면 두뇌는 소화관 뇌에게 작동을 멈추라고 명령을 내린다. 그래서 겁에 질려 도망가는 동물은 아무리 ... ...
스트레스에서 암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발생이 줄어드는 이유가 무엇일까. 유근영 교수는 "임신과 같이 아주 고농도의 호르몬이
분비
될 경우 유방세포는 더욱 분화돼 새로운 형태로 변화되는데, 그 결과 오히려 에스토로겐에 대한 저항력이 생긴다는 이론이 있다" 고 설명한다. 빨리 임신할수록 에스토로겐의 '악성' 위험이 감소되는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마련돼 있는데, 이 곳에서 당단백질을 풍부하게 함유한 물러체(Müllerian body)라는 물질을
분비
한다. 숙식을 제공받는 애즈텍개미는 그 보답으로 수도머멕스 개미가 아카시나무에게 하듯 트럼핏 나무를 온갖 초식동물과 주변의 다른 식물들로부터 보호한다.쓰레기장에 피는 새순 한자리에 붙박이로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매우 높아 접근을 막고 있다.'체르노빌 연합' 에 따르면 사고 후 어린이들에게 편도선 내
분비
계 호흡기 소화기 순환기 등의 질병이 잘 나타난다고 한다. 특히 면역 기능이 약해져 다른 질병으로부터 무방비상태가 된 아이들이 많다. 그래서 후천성면역결핍증과 유사한 이 증세를 가리켜 '체르노빌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텍사스주로부터 남미 아르헨티나에 걸쳐 분포한다. 다른 버섯개미들(fungus ants)이 동물의
분비
물이나 시체를 썩혀 그 위에다 버섯을 기르는 것과 달리 이 잎꾼개미들은 신선한 채소 위에 버섯을 키운다.잎꾼개미는 마치 파괴와 부흥을 상징하는 힌두교의 신 '시바'(Shiva)와 같다. 우리나라 시골 마을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것을 알고 있었다. 그날 밤 밴팅은 췌관(膵管)을 얼마동안 결찰(묶어둠)해 소화효소
분비
세포를 퇴화시킨다면 인슐린이 들어있는 췌장 조직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착상을 했다.밴팅은 다음날 아침 출근해 생리학교수와 상의한 후 도서관에서 이것 저것 문헌을 찾아보고 새로운 시도라는 확신을 갖게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