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신체 최고 속도는 ‘핑거 스냅’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끼고 핑거 스냅을 해서 우주 생명체의 절반을 날려버린 장면으로 유명해졌지.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사드 밤라 교수는 영화에서 내가 건틀릿을 낀 채로 핑거 스냅을 하는 모습을 보고 의문을 품었어. 이후 사드 밤라 교수는 학생들과 함께 ‘과연 건틀릿을 낀 상태로 핑거 스냅을 할 수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약 50광년 떨어진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암흑성운 ‘LDN 1165’입니다. 지난 11월 17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허블 우주망원경이 암흑성운에서 이 모습을 관측했지요.성운이란 별이 태어나는 먼지구름을 뜻합니다. 암흑성운은 그중 빛을 반사하지 않고 흡수하는 성운이죠. 빛을 반사하지 않기 ... ...
- [해외취재➋] 나쁜 동물원이 문 닫으면 동물은 어디로 가나요? 집 잃은 동물의 집,생추어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전에 지낼 곳을 찾을 수 있었을까요? 미국의 나쁜 동물원, 문 닫을 수 있는 이유는? 미국에는 샌디에이고 동물원처럼 좋은 동물원도 있지만, ‘로드사이드 주’, 다시 말해 ‘길거리 동물원’이라고 불리는 열악한 동물원도 많습니다. 지난해 화제가 된 다큐멘터리 의 주인공이 ... ...
- [과학 뉴스] 우주에서 태어난 ‘우주 고추’, 너는 무슨 맛이니?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48개를 ISS로 보내 한 달간 우주에서 키우기 적합한 고추 품종을 실험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 뉴멕시코주가 원산지로, 고지대에서 자라며 다른 고추보다 빨리 자라는 ‘에스파뇰라 임프루브드’ 품종이 우주 고추로 최종 선발됐습니다. 선발된 에스파뇰라 임프루브드 고추는 7월 12일 ISS의 ... ...
- [가상 인터뷰] 멸종위기조류 캘리포니아 콘도르, 아빠 없이도 새끼를 낳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짓지는 않지요.우리는 한때 야생에서 멸종했을 정도로 심각한 멸종 위기종입니다. 미국 샌디에이고 동물원에서 지난 30년 동안 캘리포니아 콘도르를 꾸준히 번식시켜 자연으로 돌려보낸 끝에 현재는 야생 개체 수가 늘어났지만, 아직도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있지요. 아빠 없이 태어난 콘도르가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사람들의 인기를 얻어 지금은 무려 380만 명이 넘는 구독자를 가진 스타가 되었어요. 또 미국의 크리에이터 롭 케니는 넥타이 매는 법, 면도하는 법 등 사소하지만 누군가가 가르쳐줘야 하는 것을 영상으로 찍어 소개하는 채널을 운영하고 있어요. 그는 자신이 어렸을 적 아버지가 집을 나간 후 ... ...
- [특집] 수백억 원의 명품 바이올린, 그 비결은 사실 살충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사실을 지난 8월, 국립대만대학교 연구팀이 밝혔어요. 바이올린 제작자이자 미국 텍사스 A&M대학교 생화학 및 생물물리학 교수를 지낸 조제프 너지버리 박사는 바이올린 스트라디바리우스와 과르니에리의 앞판에서 표본을 채취했어요. 두 바이올린의 앞판은 가문비나무로 만들어졌는데, ... ...
- [특집] 감마선 폭발 vs 우주 쓰레기? 과학자들, 논쟁을 벌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본성을 잘 보여주는 이 논쟁에 2021 어과동 어워드를 주고자 합니다! ●켁 망원경 : 미국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에 있는 천문대로, 두 대의 망원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 ...
- [특집] 꿈인 줄 알았는데 현실?! 잠든 사람과 대화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결과가 발표됐어요. 이 연구는 앞으로 인류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올해 4월,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심리·인지신경과학부 켄 팔러 교수가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은 꿈을 꾸는 사람과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밝혔습니다. 각국 연구팀은 총 36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 ...
- [만화 뉴스] 화성에서 돌아오는 연료, 미생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0월 25일,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닉 크루이어 박사팀은 화성에서 키운 미생물로 직접 로켓 연료와 산화제를 생산할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미생물 연료’ 후보로 ‘시아노박테리아’와 ‘대장균’을 꼽았습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광합성을 통해 로켓 산화제로 쓰이는 산소와 대장균이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