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늘어날수록 사람도 노화하지. 텔로미어는 우리 몸의 ‘생체시계’라고 할 수 있어. 둘. 산소와 만난 세포는 “아이고, 힘들어!”몸속 에너지를 만드는 세포 속 공장인 ‘미토콘드리아’도 영향을 미친단다. 우리가 밥을 먹고 호흡을 하면 영양분과 산소가 세포로 들어가. 미토콘드리아는 이것들을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점의 길이를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0이 필요하고, 수를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0과 1이 둘 다 필요하다.기하의 연산 그런데 때로는 단위를 정하기 전에 AB를 정의하기 위해서 ‘면적’의 개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니까 AB를 직선상의 점으로 생각하지 말고, A와 B를 변으로 갖는 직사각형의 면적으로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에 등장하는 골룸과 영화 의 주인공 시저의 공통점은 뭘까?바로 둘 다 컴퓨터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가상의 캐릭터라는 점이다. 대체 골룸과 시저 같은 가상 캐릭터는 어떻게 사람이 원하는 대로 움직일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동아 독자기자들이 직접 연구실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여기서는 아침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을 제안하는 만큼 아침 샤워를 제안한다(둘 다 해도 전혀 문제없다). 아침에 가볍게 운동을 한 뒤 샤워를 하고, 아침 식사를 하는 방법이다. 운동 직후에 식사를 하지 않아도 되고, 운동하면서 흘린 땀도 씻어낼 수 있다.잠깐, 아침 운동은 몸에 좋지 않다고?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보이저 1호가 300년은 가야 도달할 수 있는 태양에서 1000AU 떨어져 있는 곳에서, 하나씩 둘씩 소천체가 발견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 소천체들은 무려 10만AU까지 나타날 것이다. 보이저가 여기 가려면 3만 년의 시간이 더 흘러야 한다. 내 진정한 끝은 여기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 곳 조차 아직 다른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존재하지 않고 사라진다. 하지만 다세계 해석의 입장은 이렇다. 측정하는 순간 우주는 둘로 나눠진다. 전자가 오른쪽 구멍으로 지나는 우주와 왼쪽 구멍으로 지나는 우주로.사실 다세계 해석에 측정은 없다. 우주는 그냥 ‘유니타리’ 진행할 뿐이다. 전자는 두 개의 구멍을 동시에 지났을 뿐이다. ... ...
- 엘라티오르베고니아 VS 장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어머님이 장미가 아니고 ‘엘라티오르베고니아’라는 거예요. 장미랑 똑같이 생겼던데, 둘이 어떻게 다른 거죠? -이진주(대전 중앙초 6)엘라티오르베고니아 처음 본 사람들은 장미라고 착각할 정도로 꽃 모양이 장미꽃과 매우 비슷해요. 그래서 ‘장미베고니아’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들고 온 스파게티는 면이 가늘고 짧아 특이했고, 니시다의 볶음국수는 소스가 맛있었다. 둘은 우리가 준비한 우주라면을 맛보고 싶어했다. 비빔국수같이 국물이 없는 우주라면을 먹고는 한 접시를 더 얻어 자기네 테이블로 돌아갔다. 아마 돌아가서 ‘한국의 스파게티’라고 소개하며 호들갑을 떨 ...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화를 드러냈어요.엄마의 마음을 이해해주세요현대의학에서는 화병을 바라보는 견해가 둘로 갈리고 있어요. 우울증의 한국적인 표현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와, 독자적인 질병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예요.사실 현재로서는 화병에 대한 연구가 턱없이 부족해 통일된 의학적 설명을 제기하기는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제가 연구하는 공학적인 응용 분야와 자연을 연구하는 생체 음향 분야가 있습니다. 이 둘을 융합해 공학적인 도구로 자연과학적인 사실을 밝혀내기도 합니다. 저는 공학에 집중하기 때문에 고래를 직접 연구하지는 않습니다. 같은 연구실에서 일했던 동료 중 몇몇은 실제 바다 속 동물을 연구하기도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