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게임"(으)로 총 2,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보드게임의 꽃! 공정한 주사위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두뇌싸움으로 승패를 결정하는 게임도 있지만, ‘모노폴리’, ‘부루마블’과 같은 보드게임은 주사위를 던져 말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사위는 언제부터 사용한 것일까? 주사위가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주사위는 기원전 3000년경 ...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용하면 자신의 상상을 코딩으로 연결시키고 이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게임이나 말하는 동화책 등을 스스로 기획하는 과정에서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두 번째와 세 번째는 문제해결력과 논리력이다. 스크래치를 익히고 난 다음, 프로그래밍 언어가 익숙해지고 더 배우고 싶은 마음이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체내에 고환이 만들어지는 ‘고환여성화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 2006년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여자 육상 800m 은메달리스트였던 인도의 산티 순다라얀이 이런 증상 때문에 메달을 박탈당했다. Y 염색체에 있던 SRY 유전자가 일반 염색체에 끼어 들어가자 수많은 여성이 정자를 만드는 상황이 ... ...
- EPILOGUE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잘 연구해도 세계적인 상을 받을 수 있다. 체코생명과학대 경영게임·야생생물학과 블라스티밀 하르트 연구팀은 개가 똥 싸는 모습을 2년 동안 참을성 있게 지켜봤다. 37종의 개 70마리가 대변 1893번, 소변 5582번 싸는 걸 지켜본 결과, 개들이 자기장의 남북방향으로 변을 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life & tech] 술게임 과학적으로 놀아보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언제까지 어깨춤만 출 것인가! 언제까지 ‘아이 앰 그라운드’만 외칠 건가! 이제 술게임도 과학적으로 즐겨보자. 재미없다고 놀림 받을 걱정은 That’s No No! 직접 체험해 본 기자의 생생한 후기가 꿀잼을 보장한다! 이 글만 읽는다면 당신은 이미 술게임계의만유인력이자 이중나선, Turn up~.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 과정을 카메라에 담아 누가 돌아봤는지를 기록했다.잠시 후 연구자가 돌아와 게임을 마저 진행하는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겠다며 다음 네가지 이야기 중 하나를 들려준다. 거짓말과 상관없는 옛날 이야기, 피노키오 이야기. 양치기 소년, 조지 워싱턴과 체리나무 이야기다. 그리고 나서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직접 만든 자동차 게임 ‘뉴로레이서’를 60~84살 노인들에게 시켰지. 4주간 꾸준히 게임을 한 노인들의 인지능력이 실험 전보다 무려 4배나 높아졌다지 뭐니. 나도 해 보고 싶구나.“왜” 할머니는 강해요?할머니의 지도에는 주변 환경이 꼼꼼하게 표시돼 있었어요. 숲 밖, 빨간 모자네 집으로 가는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 즉, 세로에게는 오른쪽 게임판의 인센티브가 왼쪽보다 높다고 말할 수 있다.도미니어링 게임은 바둑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 바둑의 원리를 깨닫는 데도 도움이 된다. 가치와 인센티브를 따져가며 바둑알을 두는 과정이 바둑에서 자신의 ‘집’ 개수를 늘리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핵심이 된 ‘내쉬균형’을 다룬 28쪽짜리 박사학위 논문으로 일약 천재 학자로 떠올랐다. 게임이론은 이해관계가 다른 사람들이 상대의 행동을 고려하면서 자신의 이익이 커지도록 행동하는 것을 수학적으로 분석한 이론이다. 만약 내쉬균형에 도달하면 사람들은 상대가 내린 선택 하에서 자신의 ...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여기죠. 그런데 학생들의 이런 생각을 놀이를 통해 바꿔 주고 싶어요. 예를 들면 보드게임을 즐기는 속에서 수학을 가르쳐 주는 거죠. 앞으로 저는 제 꿈을 실천하기 위해 계속 수학동아와 함께하고 싶어요. 수학동아 창간 30주년에도 저를 꼭 찾아와 주세요!”수학동아 열혈 독자인 안창호 선생님은 ... ...
이전123124125126127128129130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