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1,61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03
휠씬 큰 해양생물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풍부한
먹이
사슬의 정점에서 다른 동물을
먹이
로 삼는 크라켄(노르웨이 근처의 바다에 산다는 전설 속의 괴물)이 있을지도 모른다. 또 성경에 나오는 거대한 해수(海獸)나 알려지지 않은 괴물이 있을지도 모른다. 만일 이렇게 큰 생물이 산다고 할지라도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03
키우는 배양매체로 쓰인다. 개미는 버섯에게 혼자 힘으로는 구경도 하지 못할 양의
먹이
를 제공하고, 버섯은 그것을 먹으며 빠른 속도로 성장해 단백질과 당분이 듬뿍 들어 있는 균사체를 만들어 개미에게 제공한다. 몇년 전 미국 워싱턴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웨터러(James Wetterer) 박사에 따르면,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03
점심식사 후 부남호(B지구) 탐사가 시작됐다. 이곳은 간월호에 비해 수초가 많아 이를
먹이
로 삼는 고니가 많이 관찰된다. 10여마리의 큰고니 무리가 일정지점까지 뛰다 한 마리씩 날아오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한편 동해에서 관찰되는 혹고니 가족이 발견돼 시선을 끌었다.탐사 마지막 밤 그간의 ... ...
합작투자는 물론 다국적 기업도 불사
과학동아
l
199602
돕는 간호사와 산파 역할을 한다. 유년기가 지나 청년기에 접어들면 큰 애벌레들에게
먹이
를 주거나 목욕을 시키는 본격적인 유모 역할을 하며, 장년기에는 굴 밖으로 나가 식량을 구하거나 군락을 지키고 새 굴을 파는 작업에 가담한다. 처음에는 안전한 집안 일에서 시작해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 ...
애인 잡아먹는 비운의 암거미
과학동아
l
199602
올챙이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있다. 연구자들은 암컷을 두 팀으로 나눠 한쪽은
먹이
를 잔뜩 주고 다른 한쪽은 굶겼다. 예상과는 달리 두 그룹 모두 수컷을 잡아먹는 경향이 똑같이 나타났다. 배가 잔뜩 부른 암컷마저 자기의 애인을 게걸스럽게 먹어 치워버린 것이다. 연구자들이 더 자세히 ... ...
2. 남극의 생태
과학동아
l
199601
펭귄과 물개가 크게 증가했다. 고래의 종류는 대왕고래와 같이 빗살모양의 여과장치로
먹이
를 걸러먹는 수염고래와 돌고래처럼 이빨을 가진 이빨고래 등 두 종류가 있다.바다의 반은 크릴 동물성플랑크톤으로 ‘남극새우’ 라고 부른다. 몸길이는 5-7cm. 단백질과 영양분이 풍부해 미래의 식량으로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
과학동아
l
199601
시작되면 주어진 시간 동안 가장 적게 잡힌 팀이 승리를 한다.도망자게임이 끝나면
먹이
사슬게임으로서 컴퓨터 화면상에는 3개의 팀이 서로 잡히고 잡는, 도망자와 추적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알고리즘을 만든다. 이 게임도 제한된 시간 동안 잡힌 횟수가 결과로 나타난다.이 게임에서 잘 ... ...
경상누층군에서 공룡뼈 발견
과학동아
l
199601
그 수수께끼를 풀어주는가 하면, 1억5천만년 전인 중생대 쥐라기 때 공룡이 즐겨 먹던
먹이
도 볼 수 있다. 화석은 이와 같이 몇십억년 전부터 불과 몇십만년 전의 일까지 기록하고 있다. 한반도는 수십억년 동안 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바다에 살던 생물의 화석을 산에서 발견한다고 해서 전혀 이상할 ... ...
금속활자와 인쇄술
과학동아
l
199512
했다.금속활자 발명 초기 문제가 되던 판고르기 기술(글자면을 평편하게 하여
먹이
고르게 찍히도록 하는 공정)도 세종 때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크게 발달했다. 당시에는 노인들을 위한 큰 활자를 만드는데 납을 쓴 일도 있었다.그러나 많은 부수를 찍어야 할 책들은 여전히 목판이 주로 이용됐다.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12
관찰되는 야생 식물종은 바랭이 서양민들레 돼지풀 등 잡초에 불과해 동물에게
먹이
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녹색에도 '질'이 있다.서울시 생태를 평가할 때 밀도효과도 훌륭한 지표다. 휴일, 사람들은 좁다란 등산 오솔길에서 스치는 낯모르는 사람에게 친근한 인사를 건넨다. "수고 많으십니다.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