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9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
학자
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뼈가 발굴된 지층을 면밀히 재조사한 결과 토양이 무너져 지층이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결국은 사용이 금지됐다. 다른 천연물질로는 결코 사향을 대신할 수 없다. 다행히(?) 화
학자
들이 다양한 합성 머스크 분자들을 합성해 오늘날에도 향수의 잔향에서 사향을 느낄 수 있다. 20세기 후반 향수의 유행도 자연에는 없는 새로운 화합물이 주도했다. 여름철에 인기인 마린 노트(marine note), 즉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사이의 어긋난 지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것이어서 과
학자
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
2016.06.07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가지지 않은 사람들 간의 심적 여유의 차이이다. Keltner 등
학자
들의 연구들에 의하면 권력감이 낮은 사람들은 비교적 당장의 생존에 급급한 편이고 때문에 비교적 근시안적인 판단을 내리기 쉽다고 한다. 반면, 권력감이 높은 사람들은 비교적 느긋하며, 도전 등 리스크를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
2016.06.06
Wrath)’는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에서 따왔다. 스타인벡의 소설을 갖고 와 생물
학자
들을 폄훼한데 대해 스타인벡의 소설로 응수한 것이다(저자가 맛이 갔다고(sour)). ‘생명과학’과 ‘생태학’ 10판(각각 2012년과 2014년 9판이 나왔다)을 만들 때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해 다윈의 나방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
IBS
l
2016.06.02
미국 국가과학재단(NSF)에서도 지원할 만큼 의미 있는 행사로, 10여 명의 세계적인 과
학자
들이 강사로 나서 10일간 70~80명의 젊은 연구자들과 열정적인 소통으로 연성물질 연구의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 ...
귀차니즘을 떨칠 수 있는 심리학적 방법은?
2016.05.31
플랜을 사용한 결과 ‘백신’ 접종률이 높아졌다고 밝히기도 했다!(Milkman et al., 2011) 심리
학자
바우마이스터 “결국 자기통제에 성공하는 사람은 자기통제력(또는 의지력)이 좋은 사람이 아니라, 자기통제를 쓰지 않고도 자기통제를 할 줄 아는 사람이다”는 말을 했다. 귀차니즘과 정면으로 싸워서 ... ...
실패를 허용하는 부모가 노력하는 아이를 키운다
2016.05.17
가지느냐에 따라 더 노력하느냐 아니면 그만두느냐가 결정되곤 하기 때문이다. 심리
학자
캐롤 드웩 등의 연구에 의하면 능력이 ‘고정’되어 있다고 믿는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어려운 문제를 만나게 되면 더 쉽게 포기하곤 한다. 어차피 해도 안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지금 생각하면 대단한 선견지명이다. 1897년 독일의 세균
학자
인 에밀 반 에르멘겜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넘(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세균이 이 독소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보툴리움톡신은 1928년에야 실체가 밝혀졌는데 꽤 덩치가 큰 단백질로 효소활성을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평가했다. 논문 말미에서 저자들은 “사람이 참여한 게임화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과
학자
들과 협력해 양자역학 문제를 직관적으로 푸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듬을 개발할 것”이라며 “새로운 게임의 이름은 ‘퀀텀마인즈(Quantum Minds)’이다”라고 쓰고 있다. 사람의 직관은 결국 인공지능의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