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년 아이슬란드 화산피해 줄인 일등공신은 ‘빙하’
동아사이언스
l
2016.07.17
에이야프얄라요쿨 폭발 당시 보다 10배에 달했을 것”이라며 “이번 분석 자료가 지질
학자
들로 하여금 화산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
2016.07.17
이용해 그래핀을 접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네이처’에 14일 밝표했다. 물리
학자
안드레 가임은 흑연에서 그래핀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해 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그래핀의 투명하면서도 견고한 물리적 특성 때문에 관심이 높았지만 그래핀을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식의 기사가 여럿 나왔다. 메치니코프는 당시로는 드물게 대중에게도 꽤 인기가 많은 과
학자
였지만 세상을 떠난 뒤 오래지 않아 사람들의 뇌리에서 사라졌다. 항원항체 메커니즘으로 적응면역이 곧 면역계로 인식이 된 데다 항생제의 발견으로 유산균이 할 일을 없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발효유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
2016.07.05
심지어 그 불행의 내용이 불합리하고 비도덕적이라고 해도 말이다.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
학자
Kristin Laurin과 동료들은 캐나다에 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한 그룹에게는 어떤 이유로 자신이 살고 있는 국가, 즉 캐나다에서 벗어나 외국으로 이민을 가는 것이 점점 어려워질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기념하자’라는 제목의 글에서 토레스는 멘델을 비롯해 현대유전학의 토대를 쌓은 과
학자
들의 업적을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버리는 건 말이 안 될 뿐 아니라 이들의 결과는 여전히 유전현상을 설명하는데 최고라고 주장했다. 즉 유전학의 지평이 넓어지긴 했지만 멘델의 유전학이 여전히 유전학의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
2016.06.28
만들며, 그러는 사이 정작 중요한 내부의 문제는 방치하도록 만들 수 있다. 관련해서 심리
학자
Jost는 사람들은 위협이 존재하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낯선 적보다 익숙한 적을 선호하는 현상을 보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똑같이 나쁜 놈이라면 익숙한 나쁜 놈에게 당하는 것이 낫다고 여긴다는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
2016.06.21
자존감을 유지하는 방법 중 가장 위태롭고 불안한 원천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심리
학자
크로커(Crocker & Park, 2004)에 의하면 누가 뭐래도 흔들리지 않는 자기만의 기준, 예컨대 나는 미적 감각이 있으니까, 나는 화분을 잘 키우니까, 나는 동물과 잘 지내니까 등등의 내적 기준으로 스스로를 판단할 때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
학자
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뼈가 발굴된 지층을 면밀히 재조사한 결과 토양이 무너져 지층이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결국은 사용이 금지됐다. 다른 천연물질로는 결코 사향을 대신할 수 없다. 다행히(?) 화
학자
들이 다양한 합성 머스크 분자들을 합성해 오늘날에도 향수의 잔향에서 사향을 느낄 수 있다. 20세기 후반 향수의 유행도 자연에는 없는 새로운 화합물이 주도했다. 여름철에 인기인 마린 노트(marine note), 즉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사이의 어긋난 지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것이어서 과
학자
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