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1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두께 2차원 반도체 쌓아 초격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조문호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부연구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서로 다른 원자층 반도체를 차곡차곡 쌓 ... 양자컴퓨팅 소자의 원천 기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16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실렸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셜 네트워크까지 물려줘 ‘금수저’ 만드는 하이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8
지 7주 된 어린 점박이 하이에나 뒤로 도도한 표정의 어미 하이에나가 앉아 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16일자에 점박이 하이에나 무리에서는 자식이 어미에게서 사회적 관계를 물려받고, 이런 사회적 관계가 이른바 ‘유전’되면서 생존과 번식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표지 ... ...
[과기원은 지금] 제18회 이산화탄소 활용에 관한 국제
학술
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정보통신융합전공 석사과정생이 한국정보과학회 주관 2021 한국컴퓨터종합
학술
대회(KCC 2021)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두 석사과정생은 심층학습 기반의 추천 시스템과 자연어 처리와 관련한 논문으로 상을 받았다. 컴퓨터 시스템 분야로 접수된 논문 78편 가운데 6편이 우수논문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측정하는 순간 상태 바뀌는 까다로운 양자, 빛으로 붙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7
제공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15일 지름 1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유리 나노입자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표지 가운데에는 현미경 대물렌즈 위로 유리 나노입자가 마치 점처럼 허공에 떠있다. 빛으로 작은 입자를 포획해 붙잡아두는 ‘광 포획’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최근 ... ...
[과기원은 지금] 박현규 KAIST 교수팀, RNA 바이러스 검출 신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15일 박현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과 같은 RNA 바 ... 생산하면 기존보다 탄소 생성량이 약 100배 가까이 줄어든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2일자에 공개됐다 ... ...
코로나19 재확산은 이미 예고됐다...미 과학자 "변이 추적 늑장 대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6
글로벌 코로나19 대응이 위기에 빠지고 있다”는 내용의 서한을 1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플로스 제네틱스’에 공개했다. 크로포드 교수는 미 국립보건원(NIH) 유전학 분야 수석연구원을 역임했으며 미국인류유전학회 이사를 맡고 있는 유전체 분석 전문가다.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 ...
광범위한 코로나19 변이와 싸우는 ‘슈퍼 항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이 중 광범위한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슈퍼 항체’를 발견,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14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기업 비르바이오테크놀로지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들에게서 분리한 12종의 항체를 분석했다. 항체는 ... ...
RNA 바이러스 표적 초고감도로 검출…"코로나19 조기진단 기여"
연합뉴스
l
2021.07.15
KAIST, RNA 바이러스 등온 핵산 증폭 기술 개발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현규 교수 연구팀이 리보핵산(RNA) 바 ... 수 있는 분자진단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나노스케일'(Nanoscale) 지난달 16일 자에 실렸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얼마나 많은 논문이 잘못됐을까
2021.07.15
국민세금으로 만든 공공기관이다. 연구재단이 단발적인 처방이 아니라, 한국의 건강한
학술
생태계를 위해 궁극적인 해결책을 고안할 수 있길 바란다. ※필자소개 김우재 어린 시절부터 꿀벌, 개미 등에 관심이 많았다. 생물학과에 진학했지만 간절히 원하던 동물행동학자의 길을 자의 반 ... ...
[과기원은 지금] KAIST·평택시·삼성전자, 반도체 인력 양성 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15
영상의 환경 정보를 분리·변환하는 인공지능 신경망 모듈을 개발해 인공지능 분야 국제
학술
지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지난달 2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신경망 모듈은 한 모델로도 여러 도메인의 이미지 변환이 자유자재로 가능해 이를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