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능
활동
영향
효과
힘
작인
작업
스페셜
"
작용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자여, 여자의 화장품을 탐하지 말라
KISTI
l
2013.05.02
진짜
작용
해야 할 곳에 흡수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표피층 아래 진피층에
작용
하는 여성용 화장품을 발랐다고 가정해보자. 남성의 경우는 성분이 진피층까지 다다르지 못하고 표피층 중간에 흡수될 가능성이 크다. 자연히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태양을 피하는 방법을 찾아라 ... ...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연구결과가 실렸다. 옵신이 청각기관 내 기계적 자극을 감지하는 세포에서 수용체로
작용
한다는 것이다. 역시 초파리에서 옵신이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함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도 있다. 초파리 애벌레는 18°를 제일 좋아해 19°에서 24°의 온도차가 나는 곳에 두면 19도 쪽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일시적으로 중소기업군의 외적인 성장을 이루는데 효과적일지는 모르나 그 사회적 부
작용
이 심각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진정 경쟁력 있는 중소 정책은 일시적으로 중소기업군의 성장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정부의 역할이 강조되는 중소기업의 창업기반조성 정책의 경우도 ... ...
원자력硏, 전자빔 이용 나노입자 제조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용액 속 물 분자를 둘러싸고 있는 전자를 활성화시키고, 반응성이 큰 이 전자가 환원
작용
을 일으켜 시료를 짧은 시간 안에 나노입자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o 이 공정은 기존의 화학적 나노입자 제조 공정과 달리 유독한 부산물을 만드는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일 뿐 아니라 ... ...
노트북에 코를 갖다 댄 사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뇌가 ‘아 그 냄새!’라고 지각한다는 것이다. 뜻밖에도 냄새분자와 후각수용체가 상호
작용
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생화학 교과서를 보면 리간드(ligand, 수용체에 달라붙는 신호분자로 냄새분자도 리간드다)와 수용체 사이는 열쇠와 자물쇠의 관계로 비유되고 있다.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게 아닌가 하고 기대하고 있다. 즉 유력한 가설에 따르면 암흑물질은 ‘약하게 상호
작용
하는 무거운 입자(WIMP)’로 이뤄져 있는데, 두 입자가 부딪쳐 소멸하면서 고에너지의 전자-양전자 쌍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 여기서 나온 양전자 가운데 우주여행에서 살아남은 것이 AMS에서 검출됐다는 말이다.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PNAS)’ 3월 5일자 온라인판에는 오메가3지방산의 또 다른 효과인 항고혈압
작용
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결과가 실렸다. 혈압이 높은 사람들이 오메가3지방산을 섭취하면 혈압이 떨어진다는 임상결과를 설명하는 연구로 DHA가 혈관의 평활근 세포 표면에 있는 Sol1칼륨통로단백질에 달라붙어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도는 약하지만 만성인 염증 상태가 되게 하고 그 결과 세포가 호르몬의 조절
작용
을 잘 따르지 않게 돼 증상이 악화된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암렉사녹스는 오래 사용된 비교적 안전한 약물”이라며 “비만과 당뇨 치료제로 재활용될 좋은 기회”라고 언급했다.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상당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58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샛킨은 항생제 액티노마이신 D가 전령RNA의 합성을 방해해
작용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이를 이용해 숙주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의 발현을 연구했다. 1963년 미국국립보건원(NIH)에 자리를 잡은 샛킨은 여러 인간바이러스를 연구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발견했다. f2는 박테리아에 달라붙어 세포 안으로 게놈을 넣고 이 게놈 자체가 전령RNA로
작용
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1980년대 후반 진더는 DNA이중나선을 발견한 제임스 왓슨과 함께 인간게놈프로젝트(HGP)가 출범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HGP와 별도로 인간게놈해독 경쟁에 뛰어든 크레이그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