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칭
성명
호칭
고유명
직함
명성
네임
스페셜
"
이름
"(으)로 총 1,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3역 분류체계’를 비판하기 시작한다. 먼저 archaebactria(고세균)이라는 말부터 잘못 지은
이름
이라는 것. 고세균은 세균보다도 오래 되지 않았고 그 뒤 평범한 환경에서 사는 고세균도 여럿 발견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 우즈도 1990년 논문에서 새 용어 Archaea(번역어로는 여전히 고세균)를 썼는데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진법의 0과 1은 ‘디지털의 아버지’ 클로드 섀년에 의해 ‘비트(bit)’라는 정보단위
이름
을 얻었고 오늘날 데이터 대다수는 비트의 연속으로 변환돼 계산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언제부터인가 현재 디지털 정보 저장 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시간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비판했다. 또 자신에게도 매우 엄격해 자신의 기여도가 크지 않으면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
을 넣지 않았다고 한다. 19. 로버트 소칼 (1926. 1.13 ~ 2012. 4. 9) 통계를 알면 생물학이 보인다 ‘수량분류학(numerical taxonomy)’이라는 분야를 탄생시킨 로버트 소칼(Robert Sokal)은 1926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다. 한편 캠벨은 태어난 복제양에게 가수 돌리 파튼(Dolly Parton)을 기려 ‘돌리’라는
이름
을 지어줬다. 1997년 로슬린연구소를 떠난 캠벨은 PPL세러퓨틱스에서 발생학팀을 이끌었고 1999년 노팅엄대에 자리를 잡았다. 2000년 캠벨과 PPL은 돼지 복제에 성공했다. 캠벨은 최초의 포유류 복제 성공이라는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교환이 일어났던 것. 진더와 레더버그는 이 현상에 ‘형질전환(transduction)’이라는
이름
을 붙였다. 1959년 레더버그는 접합과 형질전환 발견의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1959년 록펠러대학에 자리를 잡은 진더는 박테리오파지 연구에 몰두했고 1961년 RNA를 게놈으로 갖는 박테리오파지 f2와 DNA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죽음을 맞는 전쟁터는 기념하면서, 번영의 터전인 논밭은 비웃는다. 역사는 왕의 서자
이름
은 줄줄이 꿰고 있지만 밀의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주지 못한다. 이것이 바로 인간이 저지르는 어리석음이다.” - 앙리 파브르 책의 운명도 사람과 비슷해서 빛을 보지 못하고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생체물질(tRNA)의 3차원 구조를 처음으로 확인해 영문 교과서에 ‘Courtesy of S.H.Kim’라는
이름
을 올린 인물이다. 1988년에는 암의 원인이 되는 주요 단백질 중 하나인 ‘Ras의 3차원 구조’를 밝혀 항암제 연구에 새 길을 열기도 했다. 김 교수가 2007년부터 개발하기 시작해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않아 특허가 낭비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만 같은 특허에도 활용도가 높은 특허가 있고
이름
만 있을 뿐 내용은 부실한 특허가 있는 만큼, 좋은 특허를 발굴하고 사업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바이오 창업서 중요한 것은 원천 기술 박 CTO는 연구 기술을 사업화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지원기관들은 ‘인체자원은행’이란 명칭을 쓴다. 일부에서는 '조직은행'이란
이름
도 쓴다. 국립암센터에선 ‘종양은행’이라고 부르고 있다. 김 교수는 “다행히 최근 정부가 통합된 시스템을 만들기 시작했다”고 설명한다. 실제로 복지부는 2008년 서울 은평구 질병관리본부를 인체자원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기초과학 연구실력은 결코 국제 수준에 뒤떨어지지 않는다. 해외 유명저널에
이름
을 올리지 않는 날이 없다”면서 “오송 센터에선 이런 국가적 역량을 ‘산업’으로 바꿔내는 ‘사업화 역량’ 강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기존 연구기관도 사업화 연구를 등한시 한 것은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