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뉴스
"
전달
"(으)로 총 5,00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고대 바이러스가 남긴 DNA 흔적, 암 치료 새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숙주가 죽을 때까지 한 몸이 될 수 있다. 일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는 후대에까지
전달
된다.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남긴 이 DNA는 건강한 세포와 결합했을 때는 특별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다 암세포와 만났을 때는 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가 ... ...
[박정연의 닥터스] “시각장애 산모가 3D프린팅 피규어로 태아 얼굴 느껴"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구상 중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인터넷에는 잘못된 정보가 많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편리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많은 대학병원 교수들이 참여해서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를 올리고 산모들의 궁금증에도 답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싶다. 주기적인 건강강좌도 개최해 ... ...
알츠하이머 뇌세포 변화, 영상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앞서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은 반응성 별세포가 마오비(MAO-B) 효소를 발현해 억제성 신경
전달
물질인 가바(GABA)를 생성하고 기억력 감퇴를 일으킨다고 보고했다. 최근에는 별세포 내 요소를 생성하는 요소회로의 존재를 확인하고 활성화된 요소회로가 치매를 촉진함을 규명했다. 하지만 임상 수준에서 ... ...
소화기관 미생물도 채취하는 캡슐 내시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달린 미생물 채취 모듈을 전자기장으로 작동시켜 미생물을 채취하고 캡슐 배출을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다. 김자영 랩장은 “미생물을 동시에 채취해야 하는 이유는 유해균을 먼저 분석해 궤양이나 위암을 조기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원격으로 자동 시술도 가능해 멀리 떨어진 도서 ... ...
모더나 창업한 랭거 "첨단 약물
전달
시스템, 암 백신 개발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로버트 랭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위키피디아 제공 “메신저리보핵산(mRNA) 등 새로운 첨단 약물
전달
시스템이 개발되며 인간의 건강에 막대한 영향 ... 첨단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은 여러 병에 대한 치료법 개발로 이어졌다”며 “약물
전달
시스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
알츠하이머 새 치료전략에 눈길...효소·유전자 연구도 거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4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주로 중추신경계 신경세포에 존재하는 타우 단백질은 신경
전달
물질의 수송 통로인 미세소관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상태일 때는 뇌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이 단백질이 잘못 접히면 독성 물질이 분비되면서 뇌 기능을 저하시킨다. ... ...
"정확한 암세포 공격 돕는 미생물 유래물질로 암 백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사람이 의도한 표적만을 검출할 수 있도록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해 병원균이
전달
되는 방식을 효율화했다. 김혜민 건국대 화장품공학과 교수는 다양한 유형의 고분자 소재가 의학과 공학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소개했다. 용도에 따라 변형된 고분자 소재는 약물이나 의료용 ... ...
내장 장벽 보호하는 우유의 비결…간 염증도 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분석 결과 사람과 동물의 젖에서 유래한 세포밖소포체는 장의 회복력 증진 신호를
전달
하는 메신저리보핵산(mRNA)을 장의 장벽에 더욱 밀착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의 젖에서 유래한 세포밖소포체는 위산으로부터 내장 장벽을 보호하는 데 큰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 ...
"탄소 배출 줄이지 않으면 2100년 인도양 강우량 50%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2
땅으로 막혀 있어 다른 대양분지와 달리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한 열을 고위도로
전달
하기 어렵다”며 “인도양 온도 반응 패턴이 일반적인 해수면 온도 양상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해양 생태계 환경과 해수면 고도 변화 등 인도양의 전반적인 기후 ... ...
[오늘과학] 80년 연구의 결실...북극곰 털 모방한 합성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얻은 온기를 마치 담요처럼 덮어 피부층에 가두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태양빛을
전달
하고 유출을 막는 털과, 저장하는 피부의 이중구성이 보온기능의 핵심이란 것이다. 연구팀은 북극곰 털가죽의 이중구조를 인공 섬유에 그대로 구현했다. 열 복사에 도움을 주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