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뉴스
"
곳
"(으)로 총 8,5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대구 수돗물 독성' 논란...'4대강 보'가 근본 원인일까
2022.11.09
녹조 라테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남조류의 입자들이 강물을 따라 흘러가지 못하고 한
곳
에 정체된 상태에서 더욱 빠르게 증식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보나 댐을 만들면 반드시 녹조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소양강댐을 비롯해서 북한강 수역의 댐에서는 녹조가 흔히 발생하지 않는다. ... ...
[과학게시판] 과총 '2022 과학기술인 국회 방문의 날'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특히 개기월식은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데 월출 직후 시작되기 때문에 동쪽이 트인
곳
을 찾아야 한다. 천왕성 엄폐는 맨눈으로는 관측하기 어렵고 천체망원경으로 달을 찾은 뒤 인근에 위치한 천왕성을 찾으면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안)' 수립을 ... ...
8일 저녁 개기월식·천왕성 엄폐 동시에...놓치면 200년 뒤에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이번 개기월식은 맨눈으로도 관측할 수 있는데 월출 직후 시작되기 때문에 동쪽이 트인
곳
을 찾아야 한다. 천왕성은 맨눈으로는 보기 어렵고 천체망원경을 사용해야 한다. 천체의 좌표가 입력돼 있지 않은 망원경의 경우 달을 찾으면 인근에서 천왕성과 엄폐 현상을 관측할 수 있다. 조재일 ... ...
우리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백색왜성 발견..."107억년 된 붉은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억년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 워릭대 물리학과 연구팀은 지구에서 90광년 떨어진
곳
에 위치한 백색왜성과 그 주위를 도는 잔해의 나이가 100억살이 넘었다는 연구 결과를 11월 5일(현지시간) 발표된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월보'에 공개했다. 태양을 포함한 별은 수명을 다하면 백색왜성이 ... ...
신한울 1호기 '발목' 잡는 수소제거장비..."불꽃 튀어도 화재 확률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직접 확인했다. 본래 PAR 장비가 있는 격납건물은 우라늄 등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곳
이기 때문에 일부 종사자를 제외하고는 출입이 어렵다. 아직 운영 허가 전인 신한울 2호기는 핵연료가 들어오지 않아 격납건물 안에 들어갈 수 있었고 PAR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PAR는 안전성 여부 ... ...
약물 투여, 뇌 신호 실시간 측정...'브레인칩'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지난달 말 방문한 이
곳
은 고려대 의료원이 바이오메디컬 연구를 위해 마련한
곳
이다. 한 실험실에 들어서자 책상 위에 놓인 케이지 속 실험 쥐 한 마리가 분주히 먹이를 먹고 있었다. 실험 쥐는 ‘모자’처럼 생긴 장비를 쓰고 있다. 연구원이 노트북을 조작하자 실험 쥐는 먹이 먹는 행위를 ... ...
위기의 탄소저장고 '이탄지'…기후변화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있다. 그린피스 제공 지난 7월 콩고민주공화국 정부는 경제위기 극복 방안으로 30여
곳
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 매장지를 경매로 내놨다. 이 결정에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딴지를 걸고 나섰다. 그린피스 측은 "이 지역에서 석유 탐사가 이뤄지면 전세계 기후재앙이 극심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 ...
세계문화유산 내 빙하 3분의 1, 20년 내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5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전 세계 약 1만 8600개의 빙하가 유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
에서 포착됐다. 이는 지구 빙하 면적의 약 10%를 차지한다. 보고서는 1만 8600개 중 약 3분의 1이 20년 안에 사라질 것이라 봤다. 3분 2가 2050년에도 존재하지만 이 역시 지구 온도 상승 1.5도 제한 노력이 이어질 때 ... ...
아이폰, 해안선 침식 연구에 '최적'...라이다 스캐너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가까운 이 지역은 약한 암벽지대로 형성돼 단 한 번의 폭풍으로도 큰 침식이 일어나는
곳
이다. 인근에 주거지가 있어 해안선의 침식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결과 아이폰의 라이다 스캐너는 해안 일대의 나무줄기나 바위와 같은 작은 구조물을 사실적으로 포착했다. 해안 절벽 인근에 ... ...
수염고래, 매일 미세플라스틱 43kg 먹어..."사람도 섭취한다는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22.11.04
깊이에서 먹이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심은 미세 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부유하는
곳
이다. 연구팀은 해당 수심에 부유하는 평균 미세 플라스틱의 양, 수염고래가 먹는 먹이의 양, 빈도 등을 기반으로 미세 플라스틱 섭취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수염고래가 하루 약 1000만개의 미세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