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d라이브러리
"
흔적
"(으)로 총 1,683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렇게 화성에 매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태양계의 행성 중 화성에서 생명체나 그
흔적
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화성은 탐사활동이 이뤄질수록 인류에게 실망을 주기도 했지만 동시에 은근 슬쩍 자신의 비밀을 드러내 보이기도 했다. 그래서 2010년까지 6회의 화성방문이 벌써 ... ...
시공을 넘나드는 무인도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염소가 야생화돼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다고 한다.만약 네발은 물론 두발 달린 동물의
흔적
조차 발견 못했다면? 풀숲을 뒤져보면 곤충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들을 눈에 보이는 대로 채집하자. 사람은 거의 모든 곤충을 먹을 수 있으니까. 물론 날로 먹으면 좋지 않다. 나쁜 균이나 기생충을 ... ...
완성된 공룡 멸종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이내에서만 진행됐을 것이라고 추정해 왔다.하지만 이번에 발견된 ‘탄화 꽃가루’
흔적
은 지구 반대쪽에 위치한 뉴질랜드에서 발견돼, 운석 충돌에 의한 지상식물의 돌연한 파괴가 전지구적으로 진행됐음을 보여주는 강력한 증거라고 조사단은 주장했다.조사팀은 꽃가루가 들어있는 조각을 잘라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1천광년 거리에 있다. 제타별 바로 오른쪽 위에는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별이 폭발한
흔적
이 남아 있다. 1054년 7월 이곳에서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은 별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고 한다. 지금은 망원경으로만 볼 수 있는 희뿌연 잔해가 초속 1천2백km라는 놀라운 속도로 우주공간으로 흩어지고 있다.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2등급 이하의 어두운 것들은 별로 없었다.또 상당수의 별똥별은 떨어지며 하늘에 남기는
흔적
인 유성흔을 화려하게 보여주면서 보는 이들의 감탄을 불러일으켰다.이번 사자자리 유성우는 지난 1966년 미국에서 관측된 대규모 유성우에는 못미치지만,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었던 유성우로는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차이나는지를 확인해야만 ‘
흔적
을 지운 것’의 효과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흔적
을 지우지 않은(그러나 나머지 조건은 똑같은) 대조군과의 비교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물론 이런 과학 연구의 방법이 과연 실제 과학자들에 의해 항상 엄밀하게 지켜지는지, 이것이 과학적 지식의 ... ...
인류 최초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학자들은 초기 인류의 치아에 남아 있는 홈을 분석한 결과 커다란 이쑤시개를 사용한
흔적
이 분명하다고 단언한다. 이 홈들은 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해 유럽과 아시아에 살았던 호모 사피엔스의 치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인간과 개의 치아 차이인간에게는 ‘디아스테마타’가 없다.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소행성 베스타와 매우 닮았다는 점은 과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베스타에는 강한 충돌
흔적
이 남아있어 이 충돌로 인해 파편이 떨어져 나왔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었는데, 브레일의 관측결과를 두고 브레일이 이 파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원래 딥스페이스 1호의 미션은 1999년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호랑이가 나타나 가축을 잡아갔다는 내용이 TV에 보도된 적이 있다. 실제 호랑이의
흔적
을 추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 호랑이가 살고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호랑이는 전세계적으로도 그 수가 얼마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호랑이뿐만이 ... ...
왜 과학자는 과거 기후를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부른다. 대용기후자료는 바다 밑에 가라앉은 퇴적물이나, 산호나 빙하에 남아있는
흔적
, 나무의 나이테, 또는 역사기록이 바로 그것이다.| 가장 오래된 관측자료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의 측우기에 의한 강우량 관측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1770년 이전의 자료는 소실돼 구할 수 없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