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가"(으)로 총 4,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 내일은 수학 단원평가 시험을 보는 날이야. 하루 종일 재미있게 놀았지만 이젠 공부를 좀 해야 할 거 같아. 문제집을 펴고 필통을 열었어. 그런데 이럴 수가! 필통 속에 난리가 난 거 있지? 필기구들이 서로 자기로 공부를 해 달라고 나를 향해 말을 하기 시작하지 뭐야! 헐~! 사실 공부하기 싫었는데 ... ...
- 곤충의 겹눈 내 눈은 수백에서 수만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가장 잘 적응했다고 평가를 받는 곤충의 얼굴을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어때요? 눈이 사람과 매우 다르죠? 곤충의 눈은 수많은 홑눈이 모인 겹눈이에요. 나비와 벌, 잠자리, 딱정벌레 같은 곤충은 홑눈이 수백에서 수만 개가 모인 겹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답니다. 곤충은 전 세계에 알려진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정상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가장 효율적인 액면 체계는?화폐의 액면 체계를 제대로 평가하려면 화폐의 실질적인 가치와 해당 국가의 물가, 환율, 거래 금액의 크기와 거래 빈도수, 사용자 수요와 만족도 등을 전부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화폐 액면 체계의 효율성은 거래에 필요한 동전의 평균 개수와 ... ...
- [재미] 경험을 공유하는 축제의 장 2014 청심ACG대회 시상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학생들의 수학 능력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인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대회다. 그래서 학생들은 다양한 학년의 팀원들과 함께 문제를 풀고, 그 내용을 동영상으로 만드는 ‘학년 통합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번 대회 본선은 지난 8월 31일 청심국제중고등학교에서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독창적인 연구를 하려면 기다려줘야 한다”며 “논문 수, 인용지수 등으로 과학자를 평가하는 현 제도가 새롭고 어려운 연구를 주저하게 한다”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유 교수가 지금까지 쓴 논문은 모두 2만 번 가량 다른 과학자들에게 인용됐다.유 교수는 어렵게 KAIST 교수가 된 뒤에도 제대로 된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품질의 박막을 만드는 기술을 발표했다. LED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로 평가 받는 장면이다. 1992년 나카무라 교수는 고온으로 열처리를 하면 마그네슘 불순물도 소자로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 방법은 파란색 질화갈륨 LED가 성공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이듬해 마침내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맡은 미국 콜로라도대 브루스 자코스키 교수는 이점을 “매우 영리한 방법이었다”고 평가했다. 부족한 추진력을 인정하고 메이븐보다 많은 로켓을 나눠 쏘면서 지구를 벗어난 방법을 높게 산 것이다. 실제로 망갈리안은 발사 후 11일 동안 총 6차례에 거쳐 고도를 최대 19만2874km까지 높였다. 12월 4일 ...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늘리는 것이다. 외국 학생이 늘어나면 대학경쟁력도 올라간다. KAIST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로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대학랭킹(THE)’에서도 공학기술 26위, 종합순위 52위로 세계 유수대학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학문수준으로는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예를 들어 2010년 그래핀이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을 때, 이 분야에서 세계 3위 안에 든다고 평가 받는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위 사진)가 수상에서 제외된 사실이 국제적으로 큰 관심을 모았다. 그런데 안타깝다는 의견 사이로 “드디어 노벨상과 관련해 논란이라도 일으키는 인물이 나타나 ...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반은 갖기로 했다’라는 동일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주고 도덕성을 평가하게 하면 평가가 갈린다. 사람들은 전자는 훌륭하지만 후자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뭔가 아이러니하지 않은가?엄중한 잣대 내려놓기미국 예일대 조지 뉴먼 교수는 사람들이 선한 행위가 성립하려면 사적인 이득이 전혀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