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못한 아픈 기억이 있다. 그는 “우리나라도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벤처기업 하나가 세워
지면
마케팅에서부터 경영관리, 제품의 디자인까지 경영에 관한 일련의 작업들을 전문적으로 해주는 회사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13년간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열심히 연구한 김 교수는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녹아 표층해수의 밀도 가 낮아지고, 결국 해류의 순환이 약해진다. 해류의 순환이 약해
지면
적도의 열을 고위도로 운반하지 못해 북반구는 기온이 내려가고, 남반구는 더워질 수 있다.그러나 현재 해류를 멈출 정도의 강한 변화는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두세 배 증가시켜 모의 실험을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우리 몸에 전기가 흘러도 괜찮을까? “으악, 머리카락이 섰다.”얼마 전 놀이터에서 놀던 딸아이가 미끄럼틀을 미끄러져 내려온 뒤 쭈뼛 선 머리카락을 보이며 한 말이 ... 있는 사람을 통해
지면
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실제 번개는 나무와 사람 모두를 통해
지면
으로 이동한다) ... ...
빌딩만 한 파도도 피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가까울수록 수심이 얕아
지면
바닥의 마찰력 때문에 속도는 줄어들어요. 속도가 느려
지면
파도가 출렁이는 거리도 짧아지죠. 그러면 파도가 겹치면서 힘이 세져요. 또한 파도의 높이는 수심과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에 얕은 바다에서 파도는 높아져요.수심 × 파도의 높이 = k (k는 일정한 값)k가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파괴됨에 따라 유리창에 잉크를 뿌린 것처럼 상이 보이지 않는 부분이 점차 넓어
지면
서 결국 실명합니다. 그런데 성체줄기세포로는 망막색소상피세포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전(全)분화능이 있는 배아줄기세포가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안이지요.”정 사장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결과 종양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방식. 이 역시 우주선에 연료통을 달 필요가 없다. 태양풍을 쓸 경우 태양으로부터 멀어
지면
소용이 없다. 레이저 빔의 경우는 막대한 레이저 인프라가 필요하다. 웜홀 빛보다 빠른 우주여행방식. 우주 시공간에 생긴 구멍인 웜홀을 이용함으로써 빛보다 빠른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는 것. 웜홀은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벽을 타고 커브를 돌면 속도는 빠르지만 이동 거리가 길어
지면
서 최종 주행시간이 늘어난다. 반대로 낮은 벽을 타고 커브를 돌면 이동거리는 짧지만 원심력이 줄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진다. TIP 커브 벽 50cm 이상 세운 트랙콘크리트 트랙 위에 냉각파이프를 설치해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염분이 줄어 예전만큼 밀도가 높아지지 않았다. 가라앉아야 하는 한쪽 귀퉁이가 무너
지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적도에서 오는 흐름도 약해질 터. 이 흐름이 멈춘다면 유럽과 북미는 최소한 3~3.5℃ 기온이 급강하해 빙하기를 맞게 될 수도 있다. 영화 ‘투모로우’처럼 말이다.분명 이상기후는 어느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그 이후 로봇이라는 소문은 사라지고 정치가는 당선이 됩니다.하지만 엄밀히 따
지면
아직도 알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그 정치가가 때린 게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라면 이야기는 또 달라지거든요 ... ...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무게를 줄였다. 가볍다는 말은 기계공학계에선 그 어떤 수식어보다 아름답다. 가벼워
지면
같은 모터로 더 큰 힘을 낼 수 있고, 똑같은 배터리로 더 오랫동안 움직일 수 있다. 즉 같은 로봇이라도 가벼우면 더 빨리, 더 오랫동안 달릴 수 있는 셈이다.휴보센터 센터장인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