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가짜 나’를 버리고 ‘진짜 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찾을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진짜 나’와 ‘진짜 세상’을 알 수 있을까?
자기
의 마음 세계의 ‘사진’인 가짜를 없애면 된다. 과거는 이미 흘러가 버렸지만 마치 겉으로 보이지 않는 나무의 뿌리처럼 나를 지배하며 생각의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각자 살아온 과거의 삶과 경험이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크기가 같다. 그런데 1, 4, 9, 16…은 원래 자연수 집합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집합이
자기
자신의 일부분과 크기가 같은 이상한 일이 생긴다. 무한을 상태가 아니라 수처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대상, ‘실무한’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가무한에 대한 믿음이 강력했기 때문에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가치인 5만 원보다 6만 원이 크니까 작은 방을 고르겠지. 반면 동생이 방법을 제시한다면
자기
가 작은 방을 갖는 대신 9만 원을 달라고 할 거야. 따라서 역할도 공평하게 정해야 해. 게임이론가의 대안은 거부권이야. 분배 방법이 맘에 안 들면 거부하고 다시 협상하도록 말야. 오른쪽을 참고해서 가장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그리고 경쟁이 끝나면 무리에 속한 사람들이 자원을 나눠 갖게 했지요. 사람들은
자기
가 이득을 더 얻는 쪽으로 무리를 옮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무리를 옮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 사람이 왔을 때 무리의 자원이 늘어날 때만 무리를 바꿀 수 있지요. 그 결과 항상 왕따가 생겼습니다. ... ...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행성들이 저마다 주변 우주 환경과 전
자기
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려준다고 설명했다. doi:10.1038/nature2364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은유적으로 빗댈 수 있다. 이 은유가 싫으면 안 따르면 그만이다. 어쨌든 그 실체가
자기
잇속만 챙기려는 의도를 정말로 가진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보자. 인류의 진화에서 추우면 덜덜 떨어 열을 냄으로써 체온을 유지했던 사람들이, 아무리 추워도 가만히 있어 동사(凍死)한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돌리겠군. 빨리 움직이자고!” 맨 뒤에 서 있던 하림의 등을 누군가 총구로 쿡 찔렀다.
자기
도 모르게 걸음이 빨라졌다. 마고의 본체가 있는 방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도착하자 그 앞에 경비로봇 몇 대가 서 있는 게 보였다.“경비로봇이다!”이제 총격전이 벌어지겠다는 생각에 아이들이 ... ...
[가상인터뷰] 알을 먹고 쑥쑥 자라는 곤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수 없어서 다양한 유전자를 남기지 못하게 되거든요. 유전자의 다양성이 높아야 갑
자기
환경이 변해도 잘 살아남을 수 있어요.이런 면에서 콜로라도감자잎벌레의 전략은 탁월해요. 천적을 피하기 위해 무수정란을 낳아 유충에게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천적이 없을 때는 유전적 다양성을 높이기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스페인 루이스 알케니스병원 연구팀은 뇌에 있는 미세한 자철석이 뇌세포가 만들어 낸
자기
신호를 감지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하면서 장기 기억 형성에 관여한다고 발표했다. 이 내용은 독창적인 연구를 다루는 의학 저널인 ‘의학가설’ 2010년 2월호에 실렸다. 자철석만 보더라도 광물과 생명은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앞으로는 창의력이 더욱 요구되는 시대다. 그만큼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자기
주도형 인재가 주목받을 수밖에 없다. 명상이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청소년의 인성교육을 위해 명상을 정규 과목에 포함시키면 어떨까. 이덕주_djlee@kaist.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