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은유적으로 빗댈 수 있다. 이 은유가 싫으면 안 따르면 그만이다. 어쨌든 그 실체가 자기 잇속만 챙기려는 의도를 정말로 가진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예를 들어 보자. 인류의 진화에서 추우면 덜덜 떨어 열을 냄으로써 체온을 유지했던 사람들이, 아무리 추워도 가만히 있어 동사(凍死)한 ...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레버를 누르면 설탕을 제공해, 쥐가 습관적으로 레버를 누르게 한 뒤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습관이 형성된 쥐는 레버를 누르라는 뇌 신경 신호가, 누르지 말라는 신호보다 먼저 발생하면서 동일한 행동을 반복했다. 연구팀은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뉴런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옮겼든, 사본에게는 원본이 가지고 있던 기억이나 존재의 연속성에 관한 감각이 온전히 자기 것으로 느껴지는 게 당연한 일이니까요. 그러니 선생님께서 부디 이곳으로 날아오셔서, 이 지긋지긋한 고민을 끝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그 다음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게 될지 알 수 없지만 일단 그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크기가 같다. 그런데 1, 4, 9, 16…은 원래 자연수 집합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집합이 자기 자신의 일부분과 크기가 같은 이상한 일이 생긴다. 무한을 상태가 아니라 수처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대상, ‘실무한’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가무한에 대한 믿음이 강력했기 때문에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가치인 5만 원보다 6만 원이 크니까 작은 방을 고르겠지. 반면 동생이 방법을 제시한다면 자기가 작은 방을 갖는 대신 9만 원을 달라고 할 거야. 따라서 역할도 공평하게 정해야 해. 게임이론가의 대안은 거부권이야. 분배 방법이 맘에 안 들면 거부하고 다시 협상하도록 말야. 오른쪽을 참고해서 가장 ...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그리고 경쟁이 끝나면 무리에 속한 사람들이 자원을 나눠 갖게 했지요. 사람들은 자기가 이득을 더 얻는 쪽으로 무리를 옮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무리를 옮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 사람이 왔을 때 무리의 자원이 늘어날 때만 무리를 바꿀 수 있지요. 그 결과 항상 왕따가 생겼습니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다가온 위기!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돌리겠군. 빨리 움직이자고!” 맨 뒤에 서 있던 하림의 등을 누군가 총구로 쿡 찔렀다. 자기도 모르게 걸음이 빨라졌다. 마고의 본체가 있는 방까지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도착하자 그 앞에 경비로봇 몇 대가 서 있는 게 보였다.“경비로봇이다!”이제 총격전이 벌어지겠다는 생각에 아이들이 ... ...
- Part 2. ‘구글 루나 X프라이즈’ 올해 5개 팀 달에 도전, 민간 달 탐사 러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로봇의 크기는 식기세척기 정도인데, 달에 도착해 이동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달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임무도 수행할 예정이다. 스페이스IL이 달 탐사에 도전하는 목적은 이스라엘의 미래 세대가 과학기술에 더 흥미를 갖게 해 주고 싶어서라고. 1등을 하면 상금을 과학과 과학교육에 투자할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건설에서는 가장 유력한 기술로 꼽힌다. 하지만 철로 터널을 지을 경우 자성을 이용하는 자기부상열차의 부상과 운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서 다른 재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터널에 얇은 막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공기가 새어 들어가는 현상을 막는 밀폐 ...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자연수 중에도 나르시시즘에 빠진 수가 있다고 해요. 각 자릿수를 세제곱해서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나오는 수가 바로 ‘나르시시즘 수’예요. 나르시시즘 수를 찾는 게 생각보다 쉽지는 않습니다. 저는 딱 하나 알고 있네요. 153(=13+53+33)이요! 잡학 박사: 왠지 이 숫자가 더 나르시시즘이랑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