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촬영 장비로 얻은 데이터를 병합했다. 이지수· 심
우주
분야 동상1억 개 점으로 나타낸
우주
의 삶과 죽음지구에서 약 5300광년 떨어진 백조자리(Cygnus)는 적색 극대거성 ‘백조자리NML’을 품고 있다. 백조자리NML은 지금까지 관측된 항성(별) 중 부피가 두 번째로 큰 극대거성으로 반지름이 태양의 약 165 ... ...
[인포그래픽] 한 눈에 보는 역대
우주
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영향을 받지 않아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 X선 등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해 선명한 천체 정보를 제공한다.
우주
망원경은 수행하는 임무에 따라 궤도가 다르며 관측할 수 있는 빛의 파장 역시 다르다 ... ...
스피어x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제한된 영역만 관측했기 때문에 이런 연구가 쉽지 않았다. 전
우주
에 대한 자료를 얻으면
우주
론적 수수께끼를 푸는 연구가 가능해진다. 얼음 입자를 가진 천체의 성분을 관측해 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거나 알려지지 않았던 외계 행성의 특성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에 태양계의 소행성과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바로 그다음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입니다. 1960년을 전후해 처음 개발돼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였던 ‘아폴로 프로그램’에도 적용된 알고리즘이죠. 지금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주식 예측 등 확률 기반으로 현재 또는 다음 상태를 예측해야 하는 곳에 널리 사용되고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장실,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조합해 마치 가까이에 있는 것처럼 크게 볼 수 있어요. 덕분에 밤하늘의 별을 보거나
우주
멀리 떨어져 있는 행성을 관측할 수 있지요. 영단어 ‘telescope’ 또한 ‘멀다’는 뜻의 ‘tele’와 ‘관찰한다’는 의미의 ‘skopein’이 더해져 만들어졌답니다.망원경은 지난 17세기 네덜란드의 한스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위치한 소행성 아로코스(Arrokoth)의 생성과정이 처음 밝혀졌습니다. 2019년 1월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의 무인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가 탐사한 지 1년 만입니다. 천문학계는 큰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아로코스는 머리와 몸통이 붙은 눈사람 모양으로 생겼는데, 이 두 천체가 어떤 과정으로 결합했는지 ... ...
[한페이지 뉴스]
우주
에서 기른 상추 “먹어도 안전해요”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보관하면 맛뿐만 아니라 비타민 등 영양소도 줄어든다”며 “(
우주
식물 재배는
우주
인들에게) 신선한 영양소와 심리적인 안정감을 모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3389/fpls.2020.0019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소천체.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소행성(asteroid) 가스를 분출하는 혜성을 제외하고 현재
우주
에 존재하는 모든 소천체를 지칭한다.* 카이퍼 벨트 태양에서 45억~70억km 떨어진 지역. 태양계 형성 초기에 행성이 되지 못한 채 남은 다양한 크기의 암석이나 얼음 소행성 무리가 있다.* 야르콥스키 효과 ... ...
[수학뉴스]수학으로 저렴하고 가벼운
우주
선 만든다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단순히 연료를 태워 로켓을 밀어내는 기존 엔진보다 적은 연료로 같은 성능을 낼 수 있어
우주
선을 훨씬 가볍게 만들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 엔진을 실제 로켓에 장착하면 그 안에서 충격파가 어떻게 이동할지 모른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호세 네이선 커츠 미국 워싱턴대학교 응용수학과 ... ...
[이달의 과학사] 조슬린 벨 버넬, 펄서를 발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나온다는 사실이 명백해졌어요. 그들은 관측 결과를 1968년 2월 24일에 발표합니다.
우주
에서 가장 이상한 천체인 ‘펄서’의 존재가 알려지는 순간이었죠. ‘주기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별’이라는 뜻의 펄서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는 중성자별이에요. 엄청난 속도로 자전하면서 회전축 방향으로 강한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